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중 사료 속의 서부여 존재를 논함

이용수 41

영문명
A Study on the Presence of Seobuyeo in Korean-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지양미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16호, 97~133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부여 대소왕 사후, 처음엔 고구려에 의해 부여왕으로 봉해진 낙씨왕계의부여는 고구려 연나부에 소속된 제후가 아니라 독자적인 군사권·외교권· 교역권을 가진 왕권 국가였음을 한·중 사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고구려에 내투(來投)한 대소왕의 사촌 동생은 왕위를 물려받은 자가 아니기 때문에나라를 바쳐 항복할 자격은 없었으므로 추종자들과 망명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신흥패권국이 되고자 했던 고구려는 옛 동부여 왕실 일족을 믿을만한 동맹국으로 내세워 세력 확장을 도모하기 위한 대무신왕의 전략적 제안의 결과로 새로운 부여가 세워졌다고 볼 수 있다. 부여와 고구려의 관계는 현대 국제정치관계이론(IR)으로 분석해보면, 편승동맹 관계로 볼 수 있다. 부여는 고구려의 패권전쟁에 동참하면서 적의 표적이 되어 심각한 피해를 보게 되었고, 이에 대한 고구려의 차별적 지원책은 부여가 고구려와의 동맹을 깨고 후한과 결탁하는 배경이 되었다. 부여를 중흥시킨 위구태왕은 요동태수 공손도의 아들인 공손강과 함께 대방지역을 확보한 뒤, 천도를 단행하였다. 1~4세기 초까지 요서 지역에 있었던 이 부여는 부여사 연구의 체계적 정리를 위하여‘서부여’로 구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After the death of King Daeso of Dongbuyeo(東夫餘), Buyeo of the Nak’s Kingdom, which was initially sealed by Goguryeo(高句麗) as Buyeo King, is not a lord belonging to the Goguryeo Yeonnabu(椽那部). It can be confirmed through Korean-Chinese historical records that it was a royal state with independent military, diplomatic, and trade rights. King Daeso's younger cousin, who surrendered to Goguryeo, was not a heir to the throne, so he was not eligible to surrender by sacrificing his country, so it can be seen as an exile with his followers. Goguryeo, which wanted to become a new hegemonic power, established a new Buyeo as a result of King Daemusin's strategic proposal to expand its power by turning the royal family of Dongbuyeo into a reliable ally. The relationship with Goguryeo can be seen as a bandwagon alliance if analyzed by modern international political relations theory (IR). Buyeo became a target of the enemy and suffered serious damage when it participated in Goguryeo's hegemonic war, and Goguryeo's discriminatory support for this became the background for Buyeo to break its alliance with Goguryeo and collude with Houhan(後漢). King Uigutae(尉仇台), who rejuvenated Buyeo, secured the Daebang(帶方) area with Gonsongang(公孫康), the son of Gongsondo(公孫 度), the Taishou of Liaodong(遼東太守), and move the capital. For this Buyeo, which was in the Liaoseo(遼西) area from the 1st to the early 4th centuries, I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lassify it as 'Seobuyeo(西夫餘)' for the systematic organization of Buyeo history research.

목차

1. 머리말
2. 서부여 존재 확인을 위한 한·중 사료 검토
3.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양미. (2023).한·중 사료 속의 서부여 존재를 논함. 역사와 융합, (), 97-133

MLA

지양미. "한·중 사료 속의 서부여 존재를 논함." 역사와 융합, (2023): 97-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