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 과학기술혁명 배경 하의 한국 ⋅ 광둥 신흥산업 기술격차 및 협력분야 제언

이용수 0

영문명
The Technological Gap between Guangdong and South Korea’s Emerging Industries and the New Selection of Cooperation Field
발행기관
한중경제문화학회
저자명
주송란 김영희 이선
간행물 정보
『한중경제문화연구』제18권, 245~25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신 과학기술혁명과 웨강아오 대만구 발전 전략이라는 시대적 배경 하에 한국과 광둥성이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신흥산업의 기술격차를 각각 비교·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과 광둥성이 상호보완할 수 있는 산업을 선별하여 해당 산업의 발전 현황과 협력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한국과 광둥성 간 새로운 산업협력 모델과 최적화 전략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향후 한국과 광둥성 간 신흥산업의 우호적인 교류와 협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verified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statu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justice. A statistical analysis of 4257 data in the China CGSS 2017 database was carried ou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ocioeconomic status and social justic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and the social justice plays an incomplete intermediary ro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puts forward several suggestions in terms of policy and practice. First, government may gradually increase the level of pension benefits of the elderly, and provide minimum living security. Second, the community should provide amenities for the elderly to settle their life inconveniences. This research will help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목차

Ⅰ. 연구배경 및 목적
Ⅱ. 광둥성과 한국의 기술적 우위 산업 및 기술 격차
Ⅲ. 한국-광둥 신흥산업 협력 분야 선정 배경
Ⅳ. 한국-광둥 신흥산업 협력의 최적화 모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송란,김영희,이선. (2022).신 과학기술혁명 배경 하의 한국 ⋅ 광둥 신흥산업 기술격차 및 협력분야 제언. 한중경제문화연구, (), 245-257

MLA

주송란,김영희,이선. "신 과학기술혁명 배경 하의 한국 ⋅ 광둥 신흥산업 기술격차 및 협력분야 제언." 한중경제문화연구, (2022): 245-2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