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취업자수 추세-순환 분해와 전망
이용수 0
- 영문명
- Employment Trend-Cycle Decomposition and Forecast
- 발행기관
- 한국계량경제학회
- 저자명
- 강규호(Kyu Ho Kang) 오삼일(Samil Oh)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Vol.35 No.4,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우리나라 취업자수 변동을 구조적 요인에 의한 변동과 경기에 의한 일시적 변동으로 분해하고, 향후 취업자수를 전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거시경제환경과 인구구조를 반영한 추세-순환 은닉인자모형을 개발하고 추정한다. 모형 내에서 취업자수는 단위근 과정인 추세와 안정계열인 순환의 합으로 구성된다. 추세와 순환은 각각 주요 거시변수 및 인구구조와 동태적 상관관계를 갖도록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세 가지이다. 첫째, 2023년 4분기 시점 전 연령 취업자수 순환치는 15만명, 60세 미만의 경우는 13만명으로 추정된다. 이는 최근 노동시장 상황이 양적인 측면에서 추세를 상회하는 양호한 상황임을 나타낸다. 둘째, 전 연령과 60세 미만 취업자수 추세는 주로 잠재성장률 보다 인구증가율과 고령화에 의해 결정된다. 반면 순환치는 경기변동을 대변하는 GDP 갭과 경제심리지수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며, 실업율의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전 연령 취업자수는 2024년 말까지 22만 8천명 가량 증가하고 이중 순환치는 7만 4천명이다, 한편 60세 미만 취업자수는 오히려 11만 5천명 가량 감소하겠지만, 순환치는 5만 6천명으로 취업자수가 추세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취업자수는 인구구조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정책당국은 취업자수가 아니라 현재 취업자수 순환치나 순환치 전망에 근거하여 노동시장을 판단하고 경기안정화정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compose recent employment fluctuations in Korea into structural and cyclical components and forecast future employment trends. To achieve this, we develop and estimate a trend-cycle hidden factor model that incorporates Korea's macroeconomic environment and demographic structure. Within the model, employment is modeled as the sum of a unit root process (trend) and a stationary process (cycle). The trend and cycle are each designed to have a dynamic correlation with key macroeconomic variables and demographic structure. The main results are threefold. First, the cyclical component of employment for all ages as of the fourth quarter of 2023 is estimated at 150,000 and 130,000 for those under 60. Second, the trend of employment for all ages and those under 60 is mainly determined by the population growth rate and aging rather than the potential growth rate. On the other hand, the cyclical compon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GDP gap and economic sentiment index. Finally, employment for all ages is expected to increase by 228,000 by the end of 2024, of which 74,000 is cyclical. On the other hand, employment for those under 60 is expected to decrease by 115,000, but the cyclical component is 56,000, indicating that employment is expected to exceed the trend.
목차
1. 서론
2. 모형
3. 베이지안 추정
4. 추정결과
5.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