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의료서비스 종사자의 일터에서의 행복감에 회복탄력성 이 미치는 영향

이용수 51

영문명
The Effect of Resilience on Happiness at Work of Healthcare Worker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Balance by Social Support at Work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김서윤 이재은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8권 제3호, 127~15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의료서비스 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일터에서의 행복감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며, 특히 두 변인 간 관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효과와 일터에서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 9월 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의료서비스 종사자의 응답자료 중 최종적으로 27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Process Macro v3.5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터에서의 행복감, 회복탄력성, 일과 삶의 균형, 일터에서의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터에서의 행복감에 회복탄력성이 미치는 영향에서 일과삶의 균형의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회복탄력성이 높은 종사자들은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이는 결과적으로 일터에서의 행복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회복탄력성과 일터에서의 행복감의 관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효과는 일터에서의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일터에서의 사회적 지지가 낮을 때 회복탄력성이 일과 삶의 균형을 매개하여 일터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의료서비스 종사자를 위한 HRD 분야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intricate interplay between healthcare workers' resilience and their overall workplace happiness. Additionally, it delved into the mediating role of work-life balance in this relationship and the moderating influence of social support. Data from 275 healthcare worker respondent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conducted between September 5 and November 30, 2022, and analyzed using SPSS/WIN 27.0 and Process Macro v3.5.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existed among workplace happiness, resilience, work-life balance, and social support. Second, Work-life balance played a vital mediating role, significantly enhancing the connection between resilience and workplace happiness. Resilient individuals exhibited improved work-life balance, positively affecting their happiness at work. Third, the mediation was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levels; as support decreased, work-life balance's impact on happiness strengthened, while resilience maintained a substantial indirect effect.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well-being of healthcare workers and underscore the critical roles played by both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 enhancing workplace happi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서윤,이재은. (2023).의료서비스 종사자의 일터에서의 행복감에 회복탄력성 이 미치는 영향.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8 (3), 127-156

MLA

김서윤,이재은. "의료서비스 종사자의 일터에서의 행복감에 회복탄력성 이 미치는 영향."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8.3(2023): 127-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