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n the Informal Learning Process in an Online Community
이용수 81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formal Learning Process in an Online Community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권현지 이재용 장환영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8권 제3호, 33~6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무형식학습의 과정과 경험에 관한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소속된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근거이론방법론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Strauss와 Corbin의 패러다임 모형에 의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과적 조건은 ‘높은 지적 성장 욕구, 유능한 집단 구성원, 흥미로운 학문 분야, 신뢰하는 구성원의 추천’으로, 맥락적 조건은 ‘학습 기회 부족’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심 현상은 ‘지적놀이, 관찰에 의한 성찰’로 확인되었다. 셋째, 중재적 조건은 ‘인간적인 분위기, 은연중에 의식화된 책임감’으로 드러났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학습의 지속과 전이, 공동의 참여를 촉발하는 질문제시, ‘발언권의 공평한 조절’로 도출되었다. 넷째, 결과는 ‘총체적인 성장 경험, 열정의 동기화, 우연한 통찰, 풍요로운 마음’으로 분석되었다. 선택 코딩 결과, 무형식학습 과정 전기는 ‘열정과 존중의 분위기’, 중기는 ‘놀이와 성찰’, 후기는 ‘성장 경험과 풍부한 마음’으로 나타났다. 핵심 범주는 ‘지적 놀이를 통한 한계를 넘어선 배움’으로 통합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의 무형식학습에 관한 실천적 제언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무형식학습 과정과 그 경험의 이론적 틀을 드러내어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될 풍성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vid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informal learning process in an online communit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community members and analyzed the data based on grounded theor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ausal conditions are ‘high intellectual growth desire, competent group members, interesting academic field, recommendation from trusted members,’ and the contextual condition is ‘lack of learning opportunities.’ Second, the core phenomenon is ‘intellectual play and reflection by observation.’ Third, the intervening conditions are a ‘humane atmosphere, unconscious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he strategies for action and interaction are ‘sustainability and transfer of learning, questions that provoke joint participation, fair regulation of speaking rights.’ Fourth, we analyzed the outcomes as ‘holistic growth experience, synchronization of passion, serendipitous insight, and abundant mindset.’ Based on the selective coding, the informal learning process consists of three stages: ‘enthusiasm and respect atmosphere’ for the early stage, ‘play and reflection’ for the mid stage, and ‘growth experiences and abundant mindset’ for the late stage. The core category is integrated as ‘limitless learning by intellectual play’. We discuss practical suggestions for informal learning in the online communit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view of Literature
Ⅲ. Research Methodology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