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651

영문명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Focused on Journals Published in Korea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고성민 박윤희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8권 제3호, 63~9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대학생 대상의 진로개발역량에 관한 연구를 분석함으로써연구의 특징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기간을 지정하지 않고 2023년 8월 기준에서 학술정보서비스(RISS)에서 ‘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또는 ‘경력개발역량’ 을 키워드로 사용하여 학술논문 총 25편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연구물 특성 분석 결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개발역량에 관한 연구는 2002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발표됐으며, 2015년에 4편으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게재지별 분석 결과 교육관련 학회에 투고된 논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많았다. 셋째, 연구주제는 진로개발역량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밝혀 진로교육의 내실을 강화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의 유형은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모두 횡단연구를 사용했다. 다섯째, 진로개발역량 측정에는 성희진과 나승일(2012)의 도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진로개발역량의 하위요인은 자기이해, 전공 및 직업지식, 진로결정 확신도, 의사결정 효능감, 관계활용 효능감, 구직기술이었다. 여섯째,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은 종속변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주로 대학의 진로취업서비스경험, 경력탐색행동, 고용가능성, 전공만족도, 진로결정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술지에 작성된 주제어를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주제인 진로개발역량, 대학생, 경력개발역량, 진로역량, 경력개발 등의 주제어가 빈출 횟수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연구에 대한 제안과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 total of 25 papers were analyzed, selected from the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RISS) using keywords 'undergraduate' or ‘college’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ies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have been consistently published since 2002, peaking in 2015, primarily in education-related journals. Second, the majority of research subjects were 4-year college students. Third, most studies focused on enhancing career education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related variables. Fourth, in terms of research method, it was found that quantitative research conducted as cross-sectional studies were the most. Fifth, the measures of Heejin Sung and Seung-il Na(2012) were the mostly used to measure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n addition, the sub-factors were self-understanding, major and occupational knowledge, career decision certainty, decision-making efficacy, relationship utilization efficacy, and job search skills. Sixth,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were most often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support service experienc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employment possibilit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several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area of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성민,박윤희. (2023).국내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8 (3), 63-92

MLA

고성민,박윤희. "국내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8.3(2023): 63-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