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28

영문명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Comparative Analysis of Competition Models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정대인 박지원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8권 제3호, 93~12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국 3, 4학년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직접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정서지능이 독립변인인 모형과 셀프리더십이 독립변인인 모형간의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정서지능, 셀프리더십 하위요인(행동자각 및 의지, 과제동기, 건설적인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직접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사이에서는 행동자각 및 의지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가 매우 강하여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들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경로가 유의하게 나오지 않아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하위요인(행동자각 및 의지, 과제동기, 건설적인식),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직접 효과는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사이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지능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모형과 셀프리더십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모형 중 셀프리더십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모형이 모집단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는 모형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verified the direct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400 third and fourth graders nationwide, and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l incorporat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model incorporating self-leadership. First, the direct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leadership sub-factors (behavioral perception and will, task motivation, constructive percep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only behavioral perception and will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very strong, so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and the path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not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uppressive effect. Second, the direct effects of self-leadership sub-factors (behavioral perception and will, task motivation, constructive percep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among the models that treat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leadership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model with self-leader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found to be a model that could better explain the popul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대인,박지원. (2023).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8 (3), 93-126

MLA

정대인,박지원.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8.3(2023): 93-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