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수학 교과서 삽화 분석 연구
이용수 13
- 영문명
- A study on the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llustrations: Focusing on the second grade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강신포 김성준 임은희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8권 제2호, 183~20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과서에서 삽화는 문자와 함께 교과서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삽화는 교과의 내용을 시각적인 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수학 교과서의 삽화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고학년 수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고, 그 기준을 외형적인 측면과 내용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교과서에 제시된 삽화를 분석하였다. 외형적 측면의 하위 요소는 삽화의 수와 종류, 크기, 비율, 선명도 등이었으며, 내용적 측면에서는 삽화의 역할 및 내용과의 일치도를 하위 요소로 두었다. 외형적 측면의 분석 결과, 삽화의 수는 고학년이 되면서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크기는 교과서 지면 대비 1/6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활동 안내의 역할을 하는 삽화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학습 내용을 묘사해주는 필수적인 내용이 많았으며, 내용과의 일치도에서는 긍정적인 의견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삽화 제시에서 비롯될 수 있는 오류의 유형을 4가지로 구분하여, 이 구분에 따라 오류에 해당되는 교과서 삽화의 예를 찾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llustrations and letters are two components of school textbooks. In the case of low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llustr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because many parts of curriculums(lessons) are represented by the visual forms through illustrations. So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llustrations have to make clear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by visual simplification and bring out of the interest and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In this paper, we analysed the external and content aspects of textbook's illustrations, focusing on the textbook of the second grade. We investigated number, kindness, size, ratio, and clearness of illustrations in regard to external aspects. On the aspects of content, we analysed the role of illustrations and the degree of agreement with contents. Also we classified types of error in the textbook's illustrations and presented examples of errors which was found.
목차
Ⅰ. 들어가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Ⅵ.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