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동거 가구원 보정이 소득불평등지표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4

영문명
A Study on the Impact of Adjusting for Non-cohabiting Household Members on Income Inequality Measurements: Focusing on the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저자명
이승주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78권, 33~5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7년부터 통계청은 기존의 면접 및 인터넷 조사방식과 더불어 국세청 과세자료와 건강보험료 납부액자료 등 행정자료를 통해 각 소득계층의 소득정보들을 보완한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통해 소득불평등도를 측정하여 발표해오고 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산출한 지니계수를 기초로 「가계금융·복지조사」는 우리 사회 소득불평등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해당 기간에 오히려 소득불평등도가 심화되었다고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계금융·복지조사」자료를 기초로 계산된 소득불평등 지수가 과연 우리 사회 소득불평등도를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특히 「가계금융·복지조사」는 취업이나 학업 등의 사유로 일시적으로 떨어져 사는 가구원을 원가구에 포함시키는 가구 구성방식을 취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활용해 일반적으로 저소득층 비중이 가장 높다고 알려진 청년 1인 가구를 원가구에서 분리했을 때 통계청에서 제시한 기존의 소득불평등 지수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원자료와 보정자료 간에는 소득불평등도에서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비동거 가구원 보정 후 자료에서 특히 20대 청년의 소득불평등도 악화가 이러한 양 조사간 소득불평등도 추이의 변화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2017, income inequality in South Korea has been measured using the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This survey combines income information gathered through surveys with highly reliable administrative data which include tax data from the National Tax Service and health insurance payment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Based on the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income inequality in South Korea has steadily decreased from 2017 to 2019. However, there are some who contend that income distribution has actually become more unequal during this same period. In light of these differing viewpoi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measure of income inequality derived from the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accurately portrays the current income inequality situation in South Korea. The technical reports indicate that the survey considers a family of origin to include one-person households who move out for work or study. The issue here is that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these one-person households, especially young single adults, tend to have lower incomes and poorer living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separation of these young one-person household members who live independently for work or study from their original households impacts the trends in income inequality from 2017 to 2019 as reported in the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The results reveal that when adjustments are made for one-person households, there are discernible differences in income inequality indices such as the Income quintile share ratio, Gini coefficient, and Palma ratio between the adjusted data and the original data. Further analysis of income inequality trends by age groups suggests that, after adjusting for non-cohabiting household members, the worsening income inequality among young adults in their twenties contributes to the differences observed in income inequality trends from 2017 to 2019 between the original data and the adjusted data.

목차

Ⅰ. 서론
Ⅱ. 가구개념 및 비동거 가구원 처리에 관한 검토
Ⅲ. 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주. (2023).비동거 가구원 보정이 소득불평등지표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33-58

MLA

이승주. "비동거 가구원 보정이 소득불평등지표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023): 33-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