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희망키움통장사업 참여 청년에 대한 종단 분석을 통한 청년 자산형성지원사업의 성과

이용수 137

영문명
Outcome of South Korean asset building program for low-income young adults from a social inclusion perspective using a longitudinal analysi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저자명
최상미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78권, 5~3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 대상 자산형성지원사업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청년 자산형성지원사업에 참여한 청년들이 참여 과정에서 경험한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저소득 청년 대상 자산형성지원사업의 성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생계급여 청년을 대상으로 청년희망키움통장 사업이 시작된 2018년에 청년희망키움통장 사업에 가입한 청년 720명을 패널로 2019, 2020, 2021, 2022년 4시점에 걸쳐 추적 조사한 ‘자산형성지원사업 참여자 패널 1, 2, 3, 4차 조사연구’자료를 사용하여 사업 참여 청년들의 변화를 사회통합적 관점에서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720명 청년 중 4차년도 연속응답패널 384명을 대상으로 변화를 종단적으로 분석한 결과, 참여청년 중 70% 이상이 탈수급에 성공하였으며, 고용지위 및 안정성 증가, 소득, 저축액 및 생활비 증가, 가족지지 증가, 주거자산 증가 및 주거환경 개선, 자아존중감과 행복 증가가 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이는 청년들이 청년희망키움통장 사업에 참여하는 기간 동안 경제적, 일자리, 사회적, 주거, 건강, 심리정서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사업 참여를 통한 자산형성의 경험 외에 코로나19와 같은 환경적 변화, 성숙 효과 등 청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을 통제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2023년 중산층 청년까지 그 대상이 확대되고 있는 청년 자산형성지원사업의 성과를 참여자 관점에서 종단 분석을 통해 다차원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의미를 가지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제도적, 실천적 함의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utcomes of the South Korean asset building program for low-income young adults by tracking the multidimensional changes participant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assets in the program. The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young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asset building program comprehensively using a panel survey data conducted at four different points in 2019, 2020, 2021, and 2022 targeting 720 young people who joined the Youth Hope Savings Account Program in 2018, an asset building program for young people receiving livelihood support. As a result of analyzing a continuous response panel of 384 participants, the study found that over 70%, that is, three in four out of the participants succeeded in welfare exits of livelihood support. Additionally, improvement in employment status and stability, income, savings, living expenses, family support, housing assets, housing environment, self-esteem, and happin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ndicates that young adult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economic, employment, social, housing, health, and psychological aspects in the process of asset building participating in the Youth Hope Savings Account Program. Despite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control other factors that may have affected changes in young people for three years, such as environmental changes like the COVID-19 pandemic or individual development, this study verified the multidimensional outcomes of the youth asset formation support program by conducting longitudinal analysis of participant changes. Give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s institution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상미. (2023).청년희망키움통장사업 참여 청년에 대한 종단 분석을 통한 청년 자산형성지원사업의 성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5-31

MLA

최상미. "청년희망키움통장사업 참여 청년에 대한 종단 분석을 통한 청년 자산형성지원사업의 성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023): 5-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