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장혼합모형(GMM)을 적용한 장애인의 직업능력 유형과 영향요인

이용수 56

영문명
The Types of Vocational Ability and Influencing Factor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Using the Growth Mixture Model
발행기관
K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이형하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리뷰』제8권 제3호, 289~30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이하 PSED) 2차웨이브 1차년도(2015년)부터 6차년도(2021년)자료를 이용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른 장애인의 직업능력의 유형화와 이들 유형화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인 요인의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성장혼합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애인의 직업능력의 변화궤적에 있어서 개인차가 유의함이 확인되었다. 둘째, 장애인의 직업능력 변화유형에 대한 성장혼합모형 분석결과 3개유형의 잠재계층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장애인의 직업능력 중 가장 큰 비율이 ‘높은 수준 유지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고, 이어서 ‘낮은 수준 지속형’, ‘높은 수준 감소형’ 순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장애인의 개인배경 요인 중 ‘연령대’가 낮을수록, ‘배우자’가 있을수록 직업능력이 ‘높은 수준 감소형 집단’이나 ‘낮은 수준 지속형’ 보다는 ‘높은 수준 유지형’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장애특성 요인 중 ‘신체장애인’일수록, ‘경증장애인’일수록 직업능력이 ‘높은 수준감소형 집단’이나 ‘낮은 수준 지속형’ 보다는 ‘높은 수준 유지형’에 속할 확률이 높다고 하겠다. 직업특성 요인 중 ‘일자리’가 있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직업능력이 ‘높은 수준 감소형 집단’이나 ‘낮은 수준 지속형’ 보다는 ‘높은 수준 유지형’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using data from the 1st year (2015) to the 6th year (2021) of the 2nd wave of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s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In order to identify the categorization of the vocational ability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nd the influence of ecological factors that affect these categorization, a growth mixture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Analysis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ndividual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the change trajectory of the disabled's vocational abil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rowth mixture model for the trajectory of change in the vocational ability of the disable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three potential classes.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disabled people's vocational ability was likely to belong to the 'high level maintenance type', followed by the 'low level continued type' and the 'high level reduced type'. Third, among the personal background factors of the disabled, the lower the 'age' and 'spous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 level maintenance type' rather than the 'high level reduction type group' or 'low level continuing type' of vocational ability. . Among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factors, the more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mild disabilitie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 level maintenance type' rather than the 'high level reduction type group' or 'low level continued type' of vocational ability. Among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the more 'jobs',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and the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high level maintenance type' rather than the 'high level reduction type group' or 'low level continuous type' of vocational ability. I'd say it's more likely to belo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형하. (2023).성장혼합모형(GMM)을 적용한 장애인의 직업능력 유형과 영향요인. 사회과학리뷰, 8 (3), 289-308

MLA

이형하. "성장혼합모형(GMM)을 적용한 장애인의 직업능력 유형과 영향요인." 사회과학리뷰, 8.3(2023): 289-3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