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 디지털정보화 능력과 사회자본, 디지털기기 이용 자기효능감의 관계

이용수 437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Social Capital, and Self-Efficacy using Digital Devices of the Elderly
발행기관
K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이주은 김준수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리뷰』제8권 제3호, 195~21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디지털정보화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자기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 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SPSS 25.0 통계프로그램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디지털정보화 능력, 디지털기기 이용 자기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고 노인의 사회자본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립변수인 디지털 정보화 능력을 향상하면 사회자본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자기효능감이 증가할수록 사회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노인의 디지털정보화 능력과 사회자본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정보화 능력이 사회자본에 긍정적 영향이 있었고, 디지털기기 이용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경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디지털정보화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기관의 단순한 콘텐츠 위주의 교육에서 좀 더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콘텐츠 전환 등 실천적 노력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lderly's digital literacy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lderly's digital device use self-efficacy in this relationship. To this end, the digital information gap fact-finding data conducted in 2022 was used as an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gital literacy, and self-efficacy using digital devic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as a dependent variabl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cial capital also increased when the independent variable, digital literacy, was improv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social capital increased as the self-efficacy of using digital devices in the elderly increased. Subsequen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device use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digital literacy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apital, and the path mediated by digital device self-efficacy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efforts such as conversion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be used in daily life from simple contents-oriented educ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o improve the digital literacy of the elderly a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은,김준수. (2023).노인의 디지털정보화 능력과 사회자본, 디지털기기 이용 자기효능감의 관계. 사회과학리뷰, 8 (3), 195-212

MLA

이주은,김준수. "노인의 디지털정보화 능력과 사회자본, 디지털기기 이용 자기효능감의 관계." 사회과학리뷰, 8.3(2023): 195-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