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성취목표와 학업참여가 자기평가 수행에 미치는 영향 탐색 및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이용수 153
- 영문명
- Effects of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s and Academic Engagement on their Self-Assessment Practice: Exploring Gender Differenc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노현종 손원숙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6권 제3호, 499~52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생 자기평가는 스스로 자신이 수행한 학습의 질을 성찰하고 판단하여 학습을 적절하게 수정해 나가는 형성적 평가 과정으로 간주되며, 이는 학습으로서의 평가(assessment as learning)의 대표적인 전략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평가 수행 과정에서 성취목표와 학업참여의 역할을 파악하고, 또한 이들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성별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317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성취목표 중 숙달목표가 학업참여를 매개하여 자기평가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업참여가 높을수록 외적 자원을 스스로 모니터링하여 자기평가를 수행하는 경향이 높았다. 단, 인지적 참여 성향이 높을수록 내적자원을 좀 더 빈번히 활용하고, 주도적 참여 성향이 높을수록 타인에게 질문을 하여 정보를 얻고 이를 통해 자기평가를 수행하는 경향이 높았다. 셋째, 자기 주도적인 피드백 추구 행동은 자기성찰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성취목표와 학업참여가 자기평가 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일부 차별성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통해 학습자들 각자에 맞는 효율적이고 적응적인 방식으로 자기평가 수행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ent self-assessment is considered as a formative assessment process in which students reflect on and judge the quality of their learning and appropriately modify it, and it is also a representative strategy for assessment as learning(A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s and academic engagement on college students' self-assessment practice and explore their gender differences.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317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mastery goal had the most positive effects on student self-assessment practice by mediating cognitive or agentic engagement. Second, the higher the cognitive or agentic engagement, the higher the tendency to perform self-assessment by self-monitoring external resources(SEFM). Relatively, the higher the cognitive engagement, the more frequently the use of internal resources(SIF), while the higher the agentic engagement, the higher the tendency to obtain information by asking questions to others such as professors, parents and friends(SEFI). Third, in the internal process of self-assessment, SEFM, SEFI, and SIF, which are feedback-seeking behavi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self-reflection. Fourth, multigroup structural model analysis confirmed gender differences in detailed pathways. Finally,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preparing a plan for cultivating self-assessment literacy in an efficient and adaptive way for each learner was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잠재전이분석에서 종단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적합도 지수 수행력 탐색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교육평가연구」 학술지의 연구 동향 분석
- 성장혼합모형에서 잠재계층과 연속형 결과변인 간 관계 추정방법의 비교
-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한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발달 예측 변인 탐색
- 대학생의 성취목표와 학업참여가 자기평가 수행에 미치는 영향 탐색 및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 영과잉 자료의 측정동일성 검증
- 국어 교과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고교학점제 뉴스 기사를 활용한 LDA 토픽모델링의 적정 표본크기 분석 연구
- 프로그램 평가에서의 이해관계인의 관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