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로그램 평가에서의 이해관계인의 관여
이용수 98
- 영문명
- Stakeholder Involvement in Program Evalu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이원석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6권 제3호, 343~36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60, 70년대 미국의 양적 연구 방법을 위주로 한 전통적인 프로그램 평가의 문제점이 크게 제기되면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나타난 이해관계인의 관여는 2000년대 들어와 프로그램 평가 영역에서 보편적으로 인정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 평가 현장에서는 이해관계인 관여에서 누구를 어떤 기준을 가지고 선정할지, 그들의 참여 정도는 어떠하여야 하는지 등에 대한 쟁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프로그램 평가에서 이해관계인 관여의 필요성이나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논의가 아직 부족한 상황으로 보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평가에서 이해관계인 관여가 대두된 배경을 살펴보고, 이해관계인 관여의 의미, 필요한 이유를 관련된 평가 이론과 함께 검토하였다. 또한 실제 평가에서 이해관계인 관여 적용의 쟁점과 함께 효과적인 이해관계인 관여를 위한 일반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교육프로그램 평가에서 이해관계인 관여의 현황을 검토하고 현재 우리나라 프로그램 평가에서 이해관계인 관여를 적용하는데 있어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critics of traditional program evaluation centered o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60s and 70s in the U.S. were raised, stakeholder involvement was widely recognized as a solution in the program evaluation field in the 2000s. However, issues such as which stakeholders are involved and the depth of stakeholder involvement have been raised. Especially, in the case of Korea, there seems to be a lack of discussion on the needs and procedures of stakeholder involvement.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stakeholder involvement in program evaluation along with its background. Also, general ways that can be used by evaluators who want to apply stakeholder involvement in the actual evaluation were presented. In addition, implications of stakeholder involvement to current program evaluations in Korea were derived.
목차
Ⅰ. 서론
Ⅱ. 프로그램 평가에서의 이해관계인 관여의 의의
Ⅲ. 이해관계인 관여의 필요성
Ⅳ. 이해관계인 관여 적용 방안
Ⅴ. 우리나라 프로그램 평가에의 이해관계인 관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잠재전이분석에서 종단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적합도 지수 수행력 탐색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교육평가연구」 학술지의 연구 동향 분석
- 성장혼합모형에서 잠재계층과 연속형 결과변인 간 관계 추정방법의 비교
- 혼합효과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한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발달 예측 변인 탐색
- 대학생의 성취목표와 학업참여가 자기평가 수행에 미치는 영향 탐색 및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 영과잉 자료의 측정동일성 검증
- 국어 교과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고교학점제 뉴스 기사를 활용한 LDA 토픽모델링의 적정 표본크기 분석 연구
- 프로그램 평가에서의 이해관계인의 관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