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어 교과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용수 193

영문명
The Developement and the Validation of Korean Language Subject Competency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정혜진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36권 제3호, 405~44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국어 교과 역량(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자료·정보 활용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문화 향유 역량, 자기 성찰·계발 역량)의 개념 및 하위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역량별로 하위요인을 선정하여 문항 초안을 마련한 후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보완한 예비 문항(총 117개 문항)을 활용하여 서울시 소재 중학교 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활용한 구인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검사 문항(총 82개 문항)을 선정하여 중학생 507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수행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인 측정도구(총 71개 문항)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측정도구는 국어 교과 역량 중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은 ‘분석, 추론, 창의’, 자료·정보 활용 역량은 ‘과제이해, 자료분석·활용, 과제해결·평가’, 의사소통 역량은 ‘이해력, 표현력, 전달력, 매체소통’,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은 ‘협력, 존중, 공동체이해’, 문화 향유 역량은 ‘문화이해, 문화수용, 문화생산’, 자기 성찰·계발 역량은 ‘자기점검, 자기성찰, 자기주도성’으로 구성되었으며, 해당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and developed a tool to measure the concepts and sub-factors of Korean language subject competency, as presented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To do so,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comprehensively, and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nd validated for content validity. Using the revised preliminary items (a total of 117 items), a pilot test was conducted with 162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a total of 82 items were selected for the actual test, which was conducted with 507 middle school stude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resulting in the completion of the final measurement tool (a total of 71 items). The completed measurement tool consists of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competencies (analysis, inference, creativity), data and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ies (task comprehension, data analysis and utilization, task solving and evaluation), communication competencies (understanding, expression, delivery, media communication capability), soci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ies (cooperation, respect, community understanding), cultural enjoyment competencies (cultural understanding, cultural acceptance, cultural creation), and self-reflection and development competencies (self-inspection, self-reflection, self-leadership). The tool demonstrated good validity and reli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혜진. (2023).국어 교과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36 (3), 405-443

MLA

정혜진. "국어 교과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36.3(2023): 405-4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