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작 판소리의 문화콘텐츠로서의 현대적 의미

이용수 17

영문명
The Modern Importance of Changsak-Pansori (CreativePansori) as a Cultural Contents Vehicle: Focusing on Jaram Lee's Sacheon-ga and Ukchuk-ga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향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9집, 97~142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이자람의 창작 판소리 <사천가>와 <억척가>를 연구하여 그 ‘현대적 의의’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 과정에서 문화콘텐츠적 접근을 통해 두 작품의 ‘사이’ 예술적 면모를 구체적으로 논하고자 했다. 이 논문에서는 문화콘텐츠의 산업화와 더불어 ‘정신 가치’의 실현을 중시하고, 그 동안 산업화 성공을 중심으로 논의되던 <사천가>와 <억척가>를 그 문화적 가치를 중심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이 논문에서는 <사천가>와 <억척가>의 연구 의의를 아홉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그 내용을 종합하면, 결론적으로 이자람과 남인우 연출은 <사천가>에서는 ‘유희적 감수성’을, <억척가>에서는 ‘애도의 감수성’을 구현하면서 이를 관통하는 ‘다중’을 형상화했음을 밝혔다. 이자람은 두 작품을 판소리화 하는 가운데 ‘억압받지 않고 자율적인 공동의 삶’ 그리고 ‘생명력을 중시하는 삶’을 추구하는 ‘다중’의 모습을 통해 국내·외 관객들과 교감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의 ‘민중 예술’로 지칭되던 판소리를 국내·외 ‘다중의 예술’로 인식시킨 의의를 논했다. 따라서 이자람과 남인우 연출이 구현한 ‘다중’은 다수의 창작 판소리 제작자들에게 ‘철학적 원형’이 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 두 창작 판소리에서의 ‘다중의 구현’은 문화콘텐츠의 여러 가치 중 인문학적 가치를 심화시키면서 사회·문화적 가치를 강화하고 특히 국내·외 관객들에게 판소리의 문화적 영향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현대적 의미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modern importance of Changsak-pansori(creative pansori) by focusing on Jaram Lee's Sacheon-ga and Ukchuk-ga. Using cultural contents theory, the paper deals with the “between” aspects of the art in these productions. It considers the importance of the “spiritual value” as well as the “industrial value” in these productions. Nine aspects were extracted from this research. To sum up the contents of the two pansori, Sacheon-ga embodied “amusing sensitivity” and Ukchuk-ga embodied “condolatory sensitivity” in the ways the pansori formalized characters and staged sasul (the pansori script), attaching “multitude”, with an infinite number of internal differences. Lee and director In-woo Nam made spectators experience “a non-oppressing and self-regulating community” and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life”, realizing “multitude” in the two pansori repertories. From this kind of communication with home and foreign spectators, pansori achieved recognition as an “art for the multitude”, and not only for “low-level people”. The paper therefore suggests that “multitude” became an original philosophical concept for coming pansori producers. It concludes that the “multitude” realized by Lee and director Nam had a modern importance in terms of intensifying the liberal values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showed a cultural influence on home and foreign spectators.

목차

1. 서론
2. 창작판소리 <사천가>와 <억척가>의 ‘경계의 감수성’
3. <사천가>와 <억척가>에서의 ‘다중(multitude)’의 기획과 그 의의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향. (2015).창작 판소리의 문화콘텐츠로서의 현대적 의미. 판소리연구, (), 97-142

MLA

김향. "창작 판소리의 문화콘텐츠로서의 현대적 의미." 판소리연구, (2015): 97-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