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교사들의 실수 e에 대한 이해
이용수 3
- 영문명
-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e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최은아 이홍렬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0권 제4호, 495~51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실수 e의 다양한 의미와 맥락을 살펴보고, 실수 e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실수 e에 대한 역사적 발생과 수학적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검사지를 개발하여 예비교사 28명에게 적용하였으며, 그 중 8명에게 반성 및 탐구 활동을 수행하였다. 실수 e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당수의 예비교사들이 실수 e의 형식적 정의와 그 표현과의 관계를 인식하지 못하였으며, 실수 e의 표현을 극한 표현에 편중되어 이해하고 있었다. 실수 e의 무리수 속성과 작도 불가능성에 대해 적절한 판단을 내렸으나, 그 근거에서는 다소 미흡한 면모를 드러내었다. 또한 실수 e의 연속 복리 맥락과 지수함수 맥락에는 높은 이해도를 나타낸 반면에, 기하적 맥락과 자연로그 맥락을 미흡하게 이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예비교사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으로, 예비교사들에게 실수 e의 다양한 표현과 속성, 맥락에 대한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실수 e의 다양한 측면이 잘 조직된 관계망 속에서 통합 지도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the real number e and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the real number e. 28 pre-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take a test based on the various ideas of the real number e and 8 pre-service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large number of pre-service teachers couldn't recognize relation between the formal definition and the representations of the real number e. Secondly, pre-service teachers judged appropriately for the irrationality and the construction impossibility of the real number e, but they couldn't provide reasonable evidence. Lastly, pre-service teachers understood the continuous compounding context and exponential function context of the real number e, but they had a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geometric context and natural logarithm context of the real number e.
목차
Ⅰ. 서론
Ⅱ. 실수 e의 개념 분석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수학 교사의 교사 담화에 대한 인식 분석
-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수학학습부진아의 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문과 수학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과의 연계성
- 수학수업에서의 그래핑 계산기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 예비교사들의 실수 e에 대한 이해
- 분석적 방법을 통한 삼각형의 내접원, 외접원에서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로의 유추적 발견
- NIM 게임에서 수학 영재의 필승전략에 대한 추론 사례 분석
- 얼굴그림(Face Plot)을 활용한 수학영재교육의 사례연구
- STEAM 기반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융합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수학과 중등임용 확률과 통계 기출문항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