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수학 교사의 교사 담화에 대한 인식 분석
이용수 7
- 영문명
-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 of Teacher Discourse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이지현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0권 제4호, 465~49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권위적 및 대화적 담화 사례의 교사 담화 평가에서 드러난 예비 수학 교사들의 인식을 질적 내용 분석으로 탐색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사의 일방적 설명이나 학생 대답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않는 폐쇄적 발화에 비판적이었으며, 학생의 이유를 탐색하는 질문과 오답에 대한 개방적 태도를 지지했다는 측면에서 표면적으로 대화적 담화를 지향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사가 대부분의 인지활동을 대행하는 테스트 질문에 무비판적이었고, 학생들에게 제기된 답에 대한 수학적 판단 기회를 부여하여 대화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교사 발문에 대해 심리적 저항을 보였다는 점에서, 예비교사들의 심층적인 권위적 담화 지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보고한 교사교육 입문 초기 예비교사들의 담화인식은, 교실 담화에 대한 교사 전문성 교육 과정 설계에 유용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eachers’ conceptions about teaching are important driving and also interfering forces which might affect their actual practice and training. This research explor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ceptions of teacher discourse, through tasks analyzing and evaluating teachers’ moment-to-moment discourse moves which occur in authoritative and dialogical classroom discourse. Some facets of the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were congruent with dialogical discourse: they criticized teacher’s one-way communication and ignoring students’ voices; they supported teacher’s questions probing students’ thinking and receptive attitude toward students’ wrong answers. However, some deep and subtle facets of their conceptions were more congruent with authoritative discourse rather than dialogical discourse: they positively perceived teacher’s closed, information seeking questions that funnel students’ thinking to the predetermined procedure; they emotionally resisted teacher’s questions which might facilitate dialogical engagement by allowing students to judge mathematical correctness of ideas from their peers.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teacher discourse explored in this research provide useful foundations on which to build continuous and coherent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bout classroom discours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수학 교사의 교사 담화에 대한 인식 분석
-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수학학습부진아의 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문과 수학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과의 연계성
- 수학수업에서의 그래핑 계산기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 예비교사들의 실수 e에 대한 이해
- 분석적 방법을 통한 삼각형의 내접원, 외접원에서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로의 유추적 발견
- NIM 게임에서 수학 영재의 필승전략에 대한 추론 사례 분석
- 얼굴그림(Face Plot)을 활용한 수학영재교육의 사례연구
- STEAM 기반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융합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수학과 중등임용 확률과 통계 기출문항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