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f the Gifted Students Education about Doing Mathematical Task with the Face Plot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김응환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0권 제4호, 369~38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탐색적 자료분석 영역에서 얼굴그림(face plot)을 활용한 수학영재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학교 수학 영재학생들 7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융합교육인 STEAM교육의 철학을 바탕으로의 2개의 변수에서 여러 개의 다변수를 취급할 수 있는 수학 수업과제를 탐구하였다. 이 수학과제(mathematical task)는 다변수의 확산적 사고와 다중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얼굴그림을 만드는 탐색적 자료분석의 새로운 한 가지 방법이다. 이 수업활동 중 토론과 실험을 통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태도를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문제로는 첫째, 수학 영재 학생들의 통계적 자료분석의 원리와 개념에 대한 이해를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인가? 와 둘째, 영재학생들의 탐구과정으로서 수학에 관한 흥미와 태도 면에서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가를 면담과 관찰을 통하여 학습동기유발 상황과 인식의 차별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영재학생들 스스로 자연현상에 대한 이해와 표현에서 두 변량 이상의 다변량 자료분석방법을 시도해봄으로써 수학적 패턴, 소비자를 위한 자료의 시각화, 관계에 대한 지각능력 등과 통찰 능력의 발현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자료의 시각화 방법과 관계를 통계적이며 직관적인 다변량 분석의 표현 방법을 이해함으로써 자유롭고 창의적인 발상의 전환을 통하여 수학과 통계에 대한 실생활과의 융합 관계에 대하여 흥미와 태도가 생겨났음을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activity and disposition of gifted students with face plot in exploratory data analysis at middle school mathematics class. This study has begun on the basis of the doing mathematics at multivariate analysis beyond one variable and two variables. Gifted students were developed the good learning habits theirselves. According to this result, Many gifted students have an interesting experience at data analysis with Face Plot. And they felt the useful methods of creative thinking about graphics with doing mathematics at mathematical tasks. I think that teachers need to learn the visualization methods and to make and to develop the STEAM education tasks connected real life. It should be effective enough to change their attitudes toward teaching and learning at exploratory data analysi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의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수학 교사의 교사 담화에 대한 인식 분석
-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수학학습부진아의 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문과 수학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과의 연계성
- 수학수업에서의 그래핑 계산기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 예비교사들의 실수 e에 대한 이해
- 분석적 방법을 통한 삼각형의 내접원, 외접원에서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로의 유추적 발견
- NIM 게임에서 수학 영재의 필승전략에 대한 추론 사례 분석
- 얼굴그림(Face Plot)을 활용한 수학영재교육의 사례연구
- STEAM 기반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융합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수학과 중등임용 확률과 통계 기출문항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