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s Learning Contents of High School Liberal Arts Course and Major Fields of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박영용 이헌수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0권 제4호, 423~44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인문계 수학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 내용과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M대학교 경영대학 경제학과, 경영학과와 금융보험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인문계 수학 학습 내용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과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등학교 인문계 수학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과 원리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수학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경상계열로 진학하고자 하는 인문계 고등학생들에게 수학이 전공학문을 공부하는데 필요한 교과목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n this paper, we study the recogni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professors about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s learning contents of high school liberal arts course and major fields of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We chose 155 undergraduate students and 6 professors at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 M university and investigate their recognition about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s learning contents of high school liberal arts course and major fields of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We found following facts. First, mathematics education in high school should be based on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ions and principles rather than problem-solving skills to intensifying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s of high school liberal arts course and major fields of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Second, we have impressed upon them, whom are going to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e need for more mathematics to study a major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수학 교사의 교사 담화에 대한 인식 분석
-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수학학습부진아의 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문과 수학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과의 연계성
- 수학수업에서의 그래핑 계산기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 예비교사들의 실수 e에 대한 이해
- 분석적 방법을 통한 삼각형의 내접원, 외접원에서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로의 유추적 발견
- NIM 게임에서 수학 영재의 필승전략에 대한 추론 사례 분석
- 얼굴그림(Face Plot)을 활용한 수학영재교육의 사례연구
- STEAM 기반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융합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수학과 중등임용 확률과 통계 기출문항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