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과 중등임용 확률과 통계 기출문항 분석
이용수 12
-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Past Item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김창일 전영주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0권 제4호, 387~40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근 4개년(2014~2017학년도)의 수학교과내용학 기출문항 가운데 확률과 통계학 문항을 분석 대상 문항으로 분류하고, 수학과 임용시험 문항 분석틀을 기반으로 분류된 문항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확률과 통계학 교육과정의 정상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4개 평가영역이 고르게 출제되어야 한다. 둘째, 통합적 사고와 종합·분석적인 사고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수학적 사고력과 논리적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 발문이 사용되어야 한다. 넷째, 문항 수에 의한 출제 비율은 7.7%~10.0%이고, 배점에 따른 비율은 이 보다 낮은 5.0%~7.5% 사이로 출제되었다. 다섯째, 적정난이도 안정화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여섯째, 확률과 통계학은 귀납적 관점의 문제해결력 측정을 해야 한다는 결론과 시사점을 얻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n the last 4 years(2014∼2017 school year), we classified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al items based on the evaluation scope of the mathematics subject content knowledge which were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the classified items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in order to induce normalization of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al curriculum, four assessment field should be evenly distributed. Second, integrated thinking and comprehensive analytical thinking assessment is required. Third, item an epilogue should be used to measure mathematical thinking and logical competence. Fourth, the ratio of the number of items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to the number of that was 7.7%~10.0%, and the ratio according to the item weighting was 5.0%~7.5%. Fifth, it maintains the policy of stabilizing a good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items. Finally, probability and statistical assessment should focus on measuring problem solving ability from an inductive point of view.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수학 교사의 교사 담화에 대한 인식 분석
-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수학학습부진아의 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문과 수학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과의 연계성
- 수학수업에서의 그래핑 계산기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 예비교사들의 실수 e에 대한 이해
- 분석적 방법을 통한 삼각형의 내접원, 외접원에서 사면체의 내접구, 외접구로의 유추적 발견
- NIM 게임에서 수학 영재의 필승전략에 대한 추론 사례 분석
- 얼굴그림(Face Plot)을 활용한 수학영재교육의 사례연구
- STEAM 기반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융합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수학과 중등임용 확률과 통계 기출문항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