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의 현대적 변용 가능성에 대한 試論

이용수 0

영문명
An Essay on the Possibility of Pansori's Modern Transformation: Centering around the Relation to ‘Theory of Tradition'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이경수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8집, 327~35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0.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제기된 ‘전통론’과 관련하여 판소리의 현대적 변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전통론이 대두될 때마다 관심의 대상이 되는 고전이 판소리, 그 중에서도 판소리 「춘향가」나 판소리계소설 「춘향전」이었다는 사실에 착안해서 판소리의 현대적 변용 가능성에 대해 논해 보고자 한 것이다. 1930년대 중반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고전부흥운동이 일어난 후 ‘조선적인 것’을 추구하는 문제의식은 『문장』지로 이어진다. 『문장』지의 편집에 주축이 된 가람 이병기, 선부 김용준, 상허 이태준, 정지용 등은 모두 ‘조선적인 것’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그 관심을 창작적 실천으로 옮기기도 했다. 『문장』이 고전 발굴에 힘쓴 것도 현실 대응력을 상실해 간 일제 말기에 소극적인 방식이나마 식민지 조선의 현실에 대응하고자 한 결과였다. 『문장』지는 폐간을 즈음해서 총 4회에 걸쳐 판소리 춘향전의 이본을 세 종류 소개하는데, 이때 소개된 이본은 민중적인 정서가 두드러지고 우리말의 구체적이고 생생한 아름다움이 잘 드러난 판본들이었다. 이를 통해 이들이 추구한 ‘조선적인 것’의 성격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걸쳐 이루어진 ‘전통론’에서도 판소리 「춘향가」와 판소리계 소설 「춘향전」은 고전의 현대적 변용의 사례로서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이때 대표적 전통론자였던 최일수, 조동일 등에 의해 계승해야 할 전통의 속성으로 민중성과 저항성이 언급된다. 이후 1970년대 이후에는 판소리의 민중성과 저항성을 계승한 작품이 본격적으로 씌어지는데, 김지하의 담시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의 우리 시에서 풍자적 기법을 활용하여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드러내는 시적 전통이 위축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 판소리의 현대적 변용 가능성 및 그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판소리가 지닌 다성성, 장르 복합성, 서사와 서정의 공존성 등은 오늘의 현대시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다만, 판소리 장르가 가진 이러한 복합적 성격과 미학적 특성에 대한 우리 젊은 시인들의 관심은 그리 높지 않아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아마도 그것은 고전을 향유할 수 있는 풍토가 조성되어 있지 않은 우리의 문화적 환경과 고전의 창조적 계승이라는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교육적 현실에 상당 부분 책임을 물을 수 있을 것이다. 최근 학문 간 통섭과 교류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추세지만, 여전히 우리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사이의 벽은 높아 보인다. 다양한 매력을 지닌 판소리라는 고전 장르의 현대적 변용을 통해 ‘문학의 위기’가 공공연히 거론되는 시대에 우리 현대시의 활로를 개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전통의 창조적 계승은 바로 이런 문제의식에서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Pansori's modern transformation in relation to ‘Theory of Tradition’ presented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Whenever the Theory of Tradition gains power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Pansori, especially Choonhyangga or Pansori novel Choonhyangjon was the object of interest and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of Pansori's modern transformation. After the Revival Movement of Classics leaded by Chosun-ilbo around the mid 1930's, the pursuit of ‘Joseon-ness’ was continued by literary magazine Munjang(문장) The central figures of Munjang, Garam Lee Byeonggi, Seonbu Kim Yongjoon, Sangheo Lee Taejoon and Jeong Jiyong had special interest in ‘Joseon-ness’ and put their interest into practice by writing. Though it was a bit passive, Munjang made an effort to unearth classics to face the realities of colonized Joseon because the power to confront with realities was severely weakening in the lat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Munjang introduced three different versions of Pansori novel Choonhyangjon for 4 times at the time when it ceased publication. In these versions, popular emotion was remarkably presented and the beauty of Korean language was concretely and vividly expressed.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ness’ pursued by them could be inferred from this. Also in the Theory of Tradition from 1950s to 1960s, Pansori Choonhyangga and Pansori novel Choonhyangjon attracted attention as an example of modern transformation of classics. Representative advocates for Theory of Tradition, Choi Ilsoo and Cho Dongil mentio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ce and resistance a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 which should be inherited. After 1970s, lots of works succee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ce and resistance were written and Kim Jiha's narrative poem(Damsi) is the representative one. As the poetic tradition of criticizing the social realities using satire is weakening, the possibility and meanings of Pansori's modern transformation are worth considering. Pansori's polyphony, genre complexity, coexistence of narration and lyricism, etc are very suggestive for contemporary poems. However, young poets do not seem to have high interest in this complex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features of Pansori. Probably it is because of Korea's cultural climate which lacks the basis for enjoying classics and also because of pedagogical realities indifferent to the matter of creative succession of classics. Though the interest in interdisciplinary consilience and exchange is growing, the barrier betwee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seems still very high. Through modern transformation of classic genre, Pansori which has various attractions, it will be possibile to find a way out for Korean modern poetry at the time when ‘crisis of literature’ is raised as an issue publicly. A creative succession of tradition will begin by this critical mind.

목차

1. 서론
2. ‘조선적인 것’의 추구와 판소리 「춘향전」 이본 소개의 맥락
3. 1950년대 전통론과 판소리 「춘향전」의 시적 변용 양상
4. 판소리의 창조적 계승과 풍자 기법-1970년대의 문학 환경과 김지하의 담시(譚詩)의 역할
5. 판소리의 장르 복합성과 다성적 기법
6. 결론 및 남은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수. (2009).판소리의 현대적 변용 가능성에 대한 試論. 판소리연구, (), 327-351

MLA

이경수. "판소리의 현대적 변용 가능성에 대한 試論." 판소리연구, (2009): 327-3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