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규형본(呂圭亨本) <춘향전(春香傳)> 각본의 형성과 독서물로의 수용 전환

이용수 3

영문명
The formative process and the later adaptation of Yeo Kyuhyeong's Chunhyang-jeon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송미경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8집, 263~28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0.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여규형본 <춘향전>이 형성된 경위와 후대적 수용 양상에 관하여 고찰하여 보았다. 필자는 이인직이 원각사에 직접적으로 관여했던 시점을 구체화함으로써 여규형본이 1909년 5월에서 11월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간 이인직이 원각사의 설립자로 알려져 왔던 것은 사실이나, 그가 실질적으로 원각사에 영향을 미쳤던 시기는 1909년 5월 이후였다. 일본에서 귀국한 그는 <춘향전>, <심청전>의 창극 공연이나마 급히 올려야 할 상황이었고, 이때 여규형에게 공연에 쓰일 각본을 요청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의 창극적 상황과 원각사 공연물에 대한 지식인층의 비판 여론을 고려해볼 때, 여규형은 내용적으로 순화되고, 전체가 하나의 스토리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정제(整齊)된 각본을 요청받았을 것이다. 여규형은 원각사 측의 요청을 수용하면서도, 무대물화를 염두에 두고 당대의 판소리 및 창극적 배경을 비교적 충실하게 담아냈다. 한편 여규형본은 창극 공연 구성에 있어 전체적인 줄거리와 방향, 미감을 제시하고, 각 등장인물들의 대사나 창이 분담할만한 내용을 구획하는 정도의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개작 당시의 의도대로 여규형본 <춘향전>은 1909년 5월에서 11월 간 원각사의 창극 공연에서 각본으로 활용되었지만, 이 극장은 금세 문을 닫고 말았다. 그러나 당대의 문장가였던 여규형의 <춘향전>까지 극장 폐관과 함께 사라졌던 것은 아니다. 그의 작품은 이후 1920년대, 1930년대에 걸쳐 독서물이라는 조금은 다른 양식으로 향유되었다. 우선 1920년대 초, 일본인 독자들을 위한 조선의 역사서․문학서 전집인 『통속조선문고』의 간행 계획에 여규형의 <춘향전>이 거론된 점을 들 수 있다. 또 1930년대에 집필된 이재욱의 기록과 현재 규장각․고려대학교․단국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는 필사본의 존재로부터 당시 여규형본 <춘향전>이 한문학적 소양이 있는 국내의 독자들에게도 널리 읽혔음을 알 수 있다. 한편 1929년에 창작된 이능화의 <춘몽연>은 독서물로서의 한문연본을 창작하는 문장가가 자신 당대의 창극적 상황보다 여규형의 <춘향전>을 더 중요한 참고로 삼은 사례에 해당한다. 이상 본고에서는 1909년에 원각사 공연용 각본으로 기능하였던 여규형본 <춘향전>이 이후 1920~1930년대에 이르러서 독서물로 다시금 향유되었던 정황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quires closely Into the formative process and the later adaptation of Yeo Kyuhyeong's Chunhyang-jeon again. The creation time of YeoKyuhyeongbon is estimated from May to November 1909 with limiting the period of Lee Injik's participation in Wongaksa. Mr. Lee was known as the founder of Wongaksa, but only after May 1909 was he had direct connection with that theater. He had to set up a Changgeuk(Korean classical opera) like Chunhyang-jeon or Simcheong-jeon urgently after his homecoming. He probably asked Mr. Yeo to write a play at this moment. And considering the circumstance of Korean classical opera of the day and the strong criticism of Wongaksa's performance by some intellectuals, he might demand a play which has refined contents and consistent plot. Mr. Yeo accepted Mr. Lee's demands and put the circumstance of Pansori and Changgeuk into the Chunhyang-jeon. This script might indicate the whole plot, the course, and the esthetic sense and separate the entire story into the individual words or chang in the making of Changgeuk Chunhyang-jeon. According to original aim, YeoKyuhyeongbon used in Wongaksa's Changgeuk performance in 1909, yet this theater was closed soon after. But, the remake play by Mr. Yeo who is a great writer of the day was enjoyed as a good reading during the 1920‘s and 1930's or more. At the beginning of the 1920's Mr. Yeo's Chunhyang-jeon was on the publication plan of complete works series of TongsokChosunmungo(a popular library of Korean history book and literary works) for japanese reader. And it has developed that this work had been widely read by the domestic readers had knowledge of classic chinese writing through the record by Lee Jaewook in 1930's and manuscripts owned by Korea University․Dankook University library. Through Lee Neunghwa's Chunmongyeon in 1929, we can guess that Mr. Yeo's Chunhyang-jeon was the more important reference materials for writing playacted versions in classic chinese writing as a reading than the circumstance of Changgeuk of those days. This study has found that YeoKyuhyeongbon Chunhyang-jeon used as a play for Changgeuk performance in 1909 and accepted as a great reading by the 1920's and 1930's.

목차

1. 머리말
2. 여규형본 <춘향전>의 형성 경위: 1909년 이인직(李人稙)의 원각사(圓覺社) 관여와 공연용 각본으로의 탄생
3. 여규형본 <춘향전>의 후대적 수용: 극장으로부터의 분리와 독서물로의 향유양식 전환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미경. (2009).여규형본(呂圭亨本) <춘향전(春香傳)> 각본의 형성과 독서물로의 수용 전환. 판소리연구, (), 263-288

MLA

송미경. "여규형본(呂圭亨本) <춘향전(春香傳)> 각본의 형성과 독서물로의 수용 전환." 판소리연구, (2009): 263-2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