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출판문화와 토끼전의 전승

이용수 2

영문명
A Culture of Publishing and Toggijeon'sTransmission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최진형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5집, 309~33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방각본과 활자본으로 출간된 <토끼전>의 특성이 무엇인가를 살핀 논문이다. 방각본과 활자본은 ‘출판’을 통해 향유가 이루어진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방각본의 특징을 단적으로 말하자면 ‘안정성 추구’라고 할 수 있다. 방각본 출판자의 경우 제작비용에 대한 부담이 큰 만큼 텍스트의 내용은 파격보다는 안정을 추구하기 마련이다. <경판본>의 경우, 기존의 판목을 이용하거나 번각을 시도하는 한편 내용을 축약하여 장수를 줄이는 등 제작단가를 낮추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내용 면에서도 ‘토끼포획’ 계통을 선택하면서도 ‘그물위기’의 병존을 택하는 등 안정성 추구를 통해 상업성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완판본>의 경우 신재효에 의해 정리된 사설, 즉 신씨가장본(申氏家藏本)이라는 검증된 대본을 선택함으로써 안정적 수익을 추구하였다고 할 수 있다. 활자본의 출간 여건은 방각본 출간에 비해 많이 향상되었다. 인쇄기술이 향상되었고 제작비용의 부담 또한 줄어들었다. 이로 인해 방각본의 ‘축약’과는 반대로 ‘확장’쪽으로 텍스트 생성의 방향을 잡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듣기’에서 ‘읽기’로 고소설의 향유 방식이 변화하는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띄어쓰기’나 ‘한자어 병기’, ‘대화표지 표시’ 등이 그 구체적 사례이다. 내용의 측면을 비교해 보면, <유일서관본>이 익숙한 내용을 통해 안정적으로 독자를 확보한 데 비해, <신구서림본>은 이해조라는 작가의 명성과 현학적 내용을 연계하는 방법을 통해 독자를 확보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A buyer and a seller are interested in published book-banggakbon and hwaljabon, because the buyer wants enjoyment from reading book and the seller wants profit from selling book. This paper bring to a focus at culture of publishing about Toggijeon's transmission. A banggakbon's characteristic is the pursuit of stabilization. The publisher of banggakbon tried to head the contents of text for stabilization, so he could get more profit. In case of Kyeongpanbon, the publisher used old wooden printing block, contract contents of text. So they could save the money from publishing costs. In contents of text, publisher used existing motifs and new motifs at once, because of to keep up the stabilization for profit from selling book. In case of Wanpanbon, the publisher used verified version that was written by Shin, Jae-hyo. So he could get the profit, and he could print second edition. A given conditions of Hwaljabon publishing are very good than banggakbon's. A technology of publishing, cost of publishing are changed for the better than banggakbon's conditions. The publisher of Hwaljabon made a long text and gave many facility for readers. For example, making spacing words, writing the Chinese characters attached, making indication for conversations. In contents of text, Hwaljabon publisher used existing contents or used reputation of famous writer Lee, Haejo.

목차

Ⅰ. 머리말
Ⅱ. 출판된 텍스트를 통해본 <토끼전>의 전승양상
Ⅲ.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형. (2008).출판문화와 토끼전의 전승. 판소리연구, (), 309-337

MLA

최진형. "출판문화와 토끼전의 전승." 판소리연구, (2008): 309-3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