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단가 “녹음방초”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anga (a short poem) “Nokeum Bangcho”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서정민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5집, 207~23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정응민 · 방진관 · 박귀희 · 정달영의 단가 “녹음방초”의 사설과 음악적 특징을 연구한 글이다. 단가 “녹음방초”는 현재 가야금병창에서 가장 많이 불리는 단가 중의 하나이며 박귀희와 정달영에 의해 전해지고 있는데, 이들의 소리는 음악적인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단가들에 비해 전혀 연구된 바가 없다. 한편 판소리에서는 단가 “녹음방초”가 현재 불리고 있지 않지만 음반의 자료를 통해서 정응민과 방진관이 “녹음방초”를 불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정응민은 보성소리의 중심에 있는 중요한 인물로서 그에 관한 자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소리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그리하여 필자는 정응민 · 방진관 · 박귀희 · 정달영의 단가 “녹음방초”를 채보하여 사설과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으로 과제를 풀어보려 하였다. 본문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설을 살펴보면 네 명창은 모두 다른 사설로 노래를 불렀음을 확인하였다. ‘녹음방초 승화시어 해는 어이 더디간고~’로 시작하여 첫 사설은 네 명이 모두 똑같았지만, 정응민은 단가 “백구가”와 “죽장망혜”를, 방진관은 단가 “공도라니”를, 박귀희와 정달영은 단가 “강상풍월”과 “백구가”의 사설을 섞어서 불렀다. 음계를 분석한 결과, 정응민은 우조를 사용하였지만 나머지 세 명은 평조를 사용하였다. 특히 정응민의 단가는 27번째 장단에서 음계의 변화 없이 완전4도 전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악기를 사용한 방진관 · 박귀희 · 정달영은 모두 평조로 노래하였다. 방진관은 판소리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가야금 · 퉁소 · 해금 등의 수성가락과 장구를 반주로 사용하여 노래하였는데 이것은 방진관 소리의 큰 특징이라 하겠다. 음역에 관해서 정리해 보면, 정응민은 g음에서 b''음까지 두 옥타브 이상을 사용하였으며, 하성보다는 중성과 상성을 주로 사용하였다. 방진관은 d음에서 g'음까지 좁은 음역을 사용하였지만, 그의 소리는 단순한 리듬과 깔끔한 시김새를 특징으로 삼을 수 있겠다. 박귀희는 하성이 d음까지 내려갔으며 d''음까지 두 옥타브의 음역을 사용하였다. 그녀는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하성이 매우 좋았으며 통성으로 질러내 시원한 성음을 느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달영은 박귀희와 같이 d음에서 d''음까지 두 옥타브의 음역을 사용하였지만, 박귀희와는 대조적으로 여성스러우면서 섬세한 성음으로 내용을 표현하였다. 사설내용에 의해 단락을 장단과 함께 구분하였을 경우 방진관 · 박귀희 · 정달영의 사설은 사설과 장단의 끝이 맞아 떨어지는 보편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정응민의 경우는 무려 53.4%가 사설과 장단이 맞아 떨어지지 않고 계속해서 소리를 달고 가는 형태가 나타났다. 이러한 붙임새의 짜임은 정응민의 “녹음방초”의 큰 특징이라 하겠다. 종지형태의 경우 네 명창 모두 상행종지형과 동음종지형, 하행종지형을 모두 사용하였다. 정응민 · 방진관 · 박귀희의 소리에서는 상행종지형보다는 주로 동음종지형과 하행종지형으로 짜여 져 있었다. 특히 박귀희는 정형화된 종지 선율을 가지고 있었다. 정달영은 다양한 종지선율을 사용하였으며, 세 명창과는 다르게 동음종지형을 잘 사용하지 않고, 상행종지형과 하행종지형을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정달영 “녹음방초”의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정응민 · 방진관 · 박귀희 · 정달영의 단가 “녹음방초”를 살펴본 본고는 가야금병창과 판소리 단가의 음악양식을 이해하는데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앞으로 사설부분이나 음악적 분석이 더욱 심도 있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a study that conducted research on the poetic flow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anga “Nokeum Bangcho” sung by Jung Eung-min, Bang Jin -gwan, Park Gwi-hi and Jung Dal-young. Tanga “Nokeum Bangcho”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sung Tangas in the Gayageum chorus nowadays and was succeeded by Park Gwi-hi and Jung Dal-young. However, despite the musical difference in their sound, there has been no study conducted on this Tanga, while there are numerous studies about other Tangas until now. On the other hand, Tanga Nokeum Bangcho is not sung in Pansori now, but through the musical records remaining, it can be seen that Jung Eung-min and Bang Jin-gwan sung “Nokeum Bangcho” in the past. In particular, Jung Eung-min is the central figure in the studies of Bosung-sori, and it should be pointed out as a problem that even though there are many basic data materials about him, there has not been any research carried out about his sori (music). Therefore, the author of this thesis hereby intended to solve the assignment of analyzing the poetic flow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 of Tanga “Nokeum Bangcho” sung by Jung Eun-min, Bang Jin-gwan, Park Gwi-hi, and Jung Dal-young. The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verall, these four Korean traditional-style singers sung the music in their unique way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etic flow of their song. The first poetic words were the same in all of them, starting with “Nokeum Bangcho Seunghwa Sieo Heneun Eoi Dudigango~”, but in the rest parts of the song, Jung Eung-min mixed the poetic words from Tanga “Baekuga” and “Jookjangmanghye”, Bang Jin-gwan mixed the poetic words of Tanga “Gondorani”, and Park Giw-hi and Jung Dal-young mixed the poetic words from Tanga “Gangsang Poongwul” and “Baekuga”. Analyzing the musical scale indicated that Jung Eung-min used Wujo, but other three singers used Pyungjo. Especially, the Tanga of Jung Eung-min has the characteristic of becoming a whole 4-note sound in the 27th beat of the song. Bang Jin-gwan, Park Gwi-hi, and Jung Dal-young all used some musical instruments and sang in Pyungjo. Bang Jin-gwan used the Susung Garak (a type of melody) produced by Gayageum, bamboo flute, Korean fiddle, etc which are normally not used in Pansori, and also used Jangoo (a type of Korean drum) in his song as an accompaniment, marked as a great characteristic of his sori. Summarizing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pitch extent, Jung Eung-min used more than two octaves of notes from g note to b note and used a high and medium pitch of sound more frequently than a low tone of sound. Bang Jing-gwan used a narrow range of tones from d note to g note, but his sound was marked by his elegant rhythm and clean finish at the end. Park Gwi-hi’s lowest pitch went down to d note, and she also used the two-octave range of pitch from the bottom d note to the top d note. Despite being a female, her low-tone sound was powerfully protruded from her abdomen, creating a feeling of fresh sound and singing. Lastly, Jung Dal-young used the same range of pitch as Park Gwi-hi, from d note to d note, but his sound was contrastingly soft and delicate, expressing his song in a refined way. When separating the melody and rhythm together by the contents of the poetic words, it was found that whereas the poetic words of Bang Jin-gwan, Park Gwi-hi and Jung Dal-young all had the finish on their poetic words matched with the end of the melody of their song, Jung Eun-min had 53.4% of his poetic words deviated from the melody, and his words tend to keep carrying his sound onward. The pattern of this interval is another notable characteristic of Jung Eung-min’s Nokeum Bangcho. In the case of Jongji pattern, all of the four traditional singers used all of the high jongji

목차

1. 머리말
2. 단가 “녹음방초” 사설 구성
3. 단가 “녹음방초” 음악적 분석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정민. (2008).단가 “녹음방초” 연구. 판소리연구, (), 207-239

MLA

서정민. "단가 “녹음방초” 연구." 판소리연구, (2008): 207-2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