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통 사회 재담소리의 존재와 그 공연 예술사적 의의

이용수 5

영문명
Jaedam-sori : the being and its meaning in the history of performing arts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손태도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5집, 241~28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4.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재담소리는 ‘재치있게 하는 재미있거나 우스운 노래’다. 이러한 재담소리에는 재담말형, 훙내내기형, 서사형 등의 유형들이 있으며, 이중 공연 예술사적으로 중요한 것은 한바탕 제대로 공연하는 서사형 재담소리다.서사형 재담소리에는 또한 극놀이적 방식에 의한 작품들과 서사시적 방식에 의한 작품들로 나뉜다. 극놀이적 방식의 작품은 <장대장네굿>, <옷단지굿노래>, <배뱅이굿>이 그러하듯 크게 보아 연극이라 할 수 있는 무당의 굿놀이를 주로 바탕으로 해서 성립되었고, 서사시적 방식의 작품은 서사무가가 바탕이 되어 성립되었다. 그러므로 굿에서 극놀이적 방식과 서사무가의 방식이 확연히 구분되듯 이들은 구분되어야 하고 또 서로 다른 계통의 작품들이다.이중 서사시적 재담소리가 발전되어 판소리가 성립되었다. 그것은 초기 판소리에서 불려졌으나 오늘날 전승이 끊어진 <배비장타령>, <장끼타령> 등 이른바 실전(失傳) 7가들이 재담소리적 성격이 강하여 사실상 그냥 서사시적 재담소리로 보아도 별 문제가 없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에 한 명의 광대가 중심이 되어 하던 화극(話劇) 곧 재담극이 있었고, 경기이북의 광대들이 주로한 극놀이적 방식의 재담소리도 있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이 무렵 중앙의 무대에 새로이 대두된 경기이남의 광대들과 일정하게 관련하여 서사시적 재담소리가 성립되고 이러한 서사시적 재담소리의 연장으로 판소리도 성립한 것이다. 이글을 통해 앞으로 재담소리가 우리나라 공연 예술사에 있어 새로운 연구 대상의 하나가 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Jaedam-sori : the being and its meaning in the history of performing artsSon, Tae Do Jaedam-sori (재담소리) is witty song that can make interest or laughter. There are witticism style, mimicking style, and narrative poetry style jaedam-sori. In them, the narrative style jaedam-sori done as a perfect performance is very important song. There are play style and narrative poetry style in the narrative style jaedam-sori. The former as like (장대장타령), , (배뱅이굿) etc., is originated from shaman's play in Gut (굿. shaman's ceremony in performance style ) is play in it self by the broad view, while the latter from shaman's narrative song (서사무가). So they are divided to different style songs, because the styles of shaman's play and shaman's narrative song are very different.In them, the narrative poetry style jaedam-sori later developed into another powerful genre of Korean folk opera, pansori (판소리. classical narrative song). We know it through the fact that the disappeared 7 pansori songs, (배비장타령), (장끼타령) etc., are similar to the narrative poetry style jaedam-sori. Actually there are no problem, though we call them narrative poetry style jaedam-soris. There were the hwa-geug (화극. the play with witticisms and mimicking actions by one jest. jaedam-geug) by jests (광대들. kwangdaes, clowns) around Seoul province and play style jaedam-sori by northern jests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In this condition, the narrative poetry style jaedam-sori was made by southern jesters (the jesters from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that became the major jest group in that time.I hope jaedam-sori will become a new genre in the history of Korean performing arts by this article

목차

1. ‘재담소리’의 개념
2. 연구사
3. 재담소리의 종류
4. ‘서사형 재담소리’의 유래
5. 재담소리의 공연 예술사적 의의
6. 남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태도. (2008).전통 사회 재담소리의 존재와 그 공연 예술사적 의의. 판소리연구, (), 241-280

MLA

손태도. "전통 사회 재담소리의 존재와 그 공연 예술사적 의의." 판소리연구, (2008): 241-2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