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춤·소리의 융합 장르 모색

이용수 5

영문명
Chumsori as a Fusion of Pansori & Traditional Dance: A Tryout at Dancing Figuration of Pansori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유제호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4집, 211~23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0.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판소리의 대중적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크게 세 가지 방향의 외연 확대가 요청된다. 첫째 ‘언어’ 상의 확대, 둘째 ‘공간’ 상의 확대, 셋째, ‘장르’ 상의 확대가 그것이다. 이 중에서 세 번째 방안에 초점을 두고 판소리와 전통무용의 융합을 통한 판소리 공연의 신명-예술성 향상 및 하위 장르 개발의 가능성과 그 기대효과를 고찰하려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판소리의 본질은 한풀이성을 포함한 신명-예술성이다. 그런데 현행의 판소리 연기는 그같은 판소리 고유의 정체성을 축소변질시킴으로써 스스로 대중적 입지를 약화시키고 관중과의 일체감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판소리 일부 대목의 연행에 전통무용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연기자의 호흡 역량과 장단서술창 요인들을 고려한 전통무용을 주요 대목별로 조화롭게 안배하면, 춤과 소리, 시각과 청각, 긴장과 이완, 역동성과 정태성 등의 변조 효과가 향상되고, 관중과의 유희-예술적 교감의 정도 또한 높아질 것이다.이렇게 판소리 일부 대목의 무용 형상화가 실현되면 그 자체로서 춤소리를 융합한 하나의 하위 장르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판소리 다섯 바탕의 주요 대목들을 다채롭게 엮는 춤소리, 다수 연기자들의 ‘군무’ 형식의 춤소리 등 새로운 공연 형식이 창출될 수 있다. 판소리 주요 대목별 연기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중가요나 창작무용과 비슷하다는 점도 매우 고무적이다. 이렇게 짧아진 소요 시간, 그리고 춤소리가 구성하는 시청각 예술성 덕분에 공연 기획계 및 영상 매체의 관심을 끌 수 있고 기존의 판소리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대중적 수요를 촉발할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끝으로 위와 같은 춤소리의 실현 가능성을 부분적으로 입증하는 일환으로, 춘향가 중중모리 ‘사랑가’를 대상으로 삼아 무용 형상화를 시도해 보았다.

영문 초록

Chumsori as a Fusion of Pansori & Traditional Dance-A Tryout at Dancing Figuration of Pansori-Yoo, Je HoTo ensure a wide authentic base of the general public, it is necessary for pansori to enlarge its proper extension toward three directions as follows: linguage, local and genre. Focusing on the third of these, this paper purpose to examine the possibility and the expected effects of raising the degree of enjoyment-artistry of pansori representation and developping other fusion genres by blending pansori with korean traditional danse.The essential of pansori is a enjoyment-artistry including effects of release from pain or suffering in hunan life. Or its actual representation aspects tend to alterate and reduce theses qualities, what brings weakening at the same time in authentic popular base and preferable communion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audience.So, the first key point this study is that some passages at least of the pansori perfomance must be completed with dancing figura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factors: tempo, rhythm, narratative content, vocal musicality, etc. The second key point is that such an establishment of dancing figuration in pansori by itself constituing an independent fusion genre, it is also expected to gor far toward producing some other similar genres, the representation duration of which remains within 3-6 minutes like that of poupular song or creative dance.Finaly, in order to confirm the realizability of ‘chumsori’ this article presents un tryout at dancing figuration of the famous pansori passge: 'Sarang-ga'(Love Song) in Chunhyang-ga.

목차

1. 서론
2. 판소리의 확대: 춤소리
3. 춤·소리의 융합의 가능성과 기대효과
4. 춤소리 구상 사례: 중중모리 ‘사랑가’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제호. (2007).춤·소리의 융합 장르 모색. 판소리연구, (), 211-235

MLA

유제호. "춤·소리의 융합 장르 모색." 판소리연구, (2007): 211-2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