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작판소리 발전과정 연구

이용수 12

영문명
Study o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Created Pansori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연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4집, 37~7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0.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창작판소리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창작판소리는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보가, 적벽가의 5바탕을 제외하고 20세기 이후에 새롭게 만들어진 모든 판소리라고 정의할 수 있다. 창작판소리의 발전과정을 다섯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태동기(일제강점기∼해방후)에는 판소리의 형식과 내용이 정착된 이후 새로운 판소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특히 박동실은 해방후 일제강점기에 일제에 저항한 인물들의 활약상을 가지고 열사가를 작창하여 발표하였다. 이는 당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창작판소리라고 할 수 있다. 암흑기(1950년 전반∼1960년대 전반)에는 판소리 자체가 매우 약화되었으며 이 때문에 창작판소리는 전혀 만들어지지 못하였다. 탐색기(1960년대 후반∼1970년대 후반)에는 민족주의가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면서 판소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게 되었는데 이러한 분위기 하에서 박동진은 실전판소리를 복원하는 창작판소리를 만들었다. 모색기(1980년 전반∼1990년대 후반)에는 다양한 형태의 창작판소리가 만들어졌다. 임진택은 김지하의 담시인 <오적>, <소리내력>, <똥바다>를 판소리로 만들어냈는데 이는 판소리사에서 획기적인 일이었다. 정철호는 열사가류의 창작판소리를 만들었으며 그밖에 많은 창작판소리가 만들어졌다. 부흥기(2000년∼현재)에는 비록 시기는 짧지만 많은 창작판소리가 만들어졌다. 전주산조축제의 또랑깡대 콘테스트와 전주세계소리축제의 창작판소리사습대회는 이러한 분위기형성을 많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창작판소리의 중요성을 인식한 젊은 소리꾼들이 거리판에 창작판소리를 들고 공연을 함으로서 이러한 분위기를 가져올 수 있었다. 우리가 창작판소리에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바로 판소리의 미래가 이 창작판소리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판소리에 있어서 가장 시급한 문제는 바로 판소리의 대중화이다. 즉 보다 많은 사람들이 보다 쉽게 판소리를 접하여 그 음악적 아름다움을 느끼고 향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판소리의 대중화는 바로 창작판소리의 확산과 보급을 통해 이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tudy o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Created PansoriKim, YeonThe created pansori is examined in this paper. It indicates the pansoris which were newly made after 1900, so the 5 pansoris of Chunhyangga, Shimcheongga, Sugungga, Heungboga, and Jeokbyeokga are excluded in this category.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created pansori is divided into 5 periods. In the quickening era(between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nd the 1945 liberation) when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it were settled down, the necessity of a new sort of pansori was deeply recognized by pansori artists. Specially, after the liberation, Park, Dong-sil created and performed Yeolsaga which was made with the activities of many patriots who resisted to Japanese reign and martyred. It was a newly made pansori which reflects the situation of the liberated Korea. The next period is the dark age. During the dark age(from the early '50s to '60s), pansori itself was very weakened and not a new one was created. During the following questing period, nationalism rose and the interest in pansori began to rise, too. Under the positive atmosphere, Park, Dong-jin restored the previous pansoris and made new ones. During the next groping period, various types of pansoris were made. Lim, Jin-taek made a few pansoris with the lays of Ojeok, Sorinaeryeok, and Ttongbada written by a poet, Kim, Ji-ha. They were very sensational in the pansori industry at that time. Jeong, Cheol-ho made a pansori similar to Yeolsaga, and many other pansoris were made. In the following restoration era, many new pansoris had been producted despite the short span of its time. This was possible because many young artist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created pansori had been eager to perform the pansoris on the street and spread this atmosphere.

목차

1. 머리말
2. 창작판소리의 개념과 범위
3. 창작판소리의 발전과정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연. (2007).창작판소리 발전과정 연구. 판소리연구, (), 37-76

MLA

김연. "창작판소리 발전과정 연구." 판소리연구, (2007): 37-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