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 <심청가>의 형성에 대한 재론

이용수 4

영문명
A Rediscussion of the Formation of the Pansori “Simchenonga”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이유진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3집, 373~40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판소리의 발생이나 판소리 작품의 형성에 대한 논의는 최근 들어 학계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이렇게 된 데에는 다른 원인도 있었겠지만, 매번 논의를 거듭해도 해결이 나지 않는 문제라는 회의가 가장 큰 원인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최근의 연구들은 비교적 풍부한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는 19세기 판소리사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언젠가 판소리사 전체에 대한 이해에 도달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면, 초기 판소리사에 대한 탐구를 이대로 접어둘 수 없다. 해결점을 찾지 못한 기존의 다양한 논의들은 각각 일정한 한계를 내포하면서도 결국은 초기 판소리사에 대한 이해를 점차 심화시키며 더욱 진전된 논의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준 것이 사실이다. 이제 기존의 논의들을 새로운 관점에서 통합하고 빈 곳을 메워가면서 18세기 혹은 그 이전 판소리사의 그림을 구체화하는 노력을 시도해야 할 때이다. 본고에서는 판소리 열두 마당의 형성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판소리 <심청가>의 형성 문제를 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이 관점에서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통합하고자 한다. 다른 작품이 아닌 <심청가>를 대상으로 삼는 것은, <심청가>가 비교적 이른 시기에 형성된 작품들 중 하나라는 점, 그리고 그 형성에 대해 논란이 거듭되었으나 아직까지 해결점을 찾지 못했다는 점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특히 <심청가>가 소설 <심청전>으로부터 나왔는가, 아니면 애초에 판소리 광대에 의해 짜여졌는가 하는 문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질 것이다.

영문 초록

A Rediscussion of the Formation of the Pansori “Simchenonga” Lee, Eu GeneIn the past, the formation process formula of “tale-pansori-novel” was generally acknowledged, and it was believed that this formula could apply to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pansori “Simchenonga” and the novel “Simcheongjeon,” too. Later, as it was realized that this formula could not apply to every case, it was claimed that the pansori “Simchenonga” originated from the novel “Simcheongjeon.” This claim has gained academic recognition, yet its arguments are not well grounded and there are some facts to support the possibility that the novel “Simcheongjeon” originated from the pansori “Simchenonga.” In this paper, the main arguments of the claim that the pansori “Simchenonga” originated from the novel “Simcheongjeon” are critically examined,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novel “Simcheongjeon” originated from the pansori “Simchenonga” is rediscussed while considering the channel by which the origin story of Gwaneumsa was received and the influence of the shamanist narrative song “the abandoned princess” on the formation of “Simchenonga” and “Simcheongjeon.”

목차

1. 서론
2. 판소리 열두 마당의 형성과정 중 <심청가>의 위치
3. 판소리 <심청가>와 소설 <심청전>의 선후관계
4. 판소리 <심청가>의 형성에 미친 서사무가의 영향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유진. (2007).판소리 <심청가>의 형성에 대한 재론. 판소리연구, (), 373-400

MLA

이유진. "판소리 <심청가>의 형성에 대한 재론." 판소리연구, (2007): 373-4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