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춘향가>를 통해본 김소희 판소리의 음악적 지향

이용수 0

영문명
Musical aim of Kim So-Hee's Pansori based on Chunhyang-ga: focused on aspect of the adaptation of Jeonjeongyeolje and Dongchoje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경희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3집, 65~107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4.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김소희 만정판 <춘향가>는 유파의 경계 없이 자신이 사사한 여러 스승의 소리를 바탕으로 새롭게 구성한 소리이며, 이렇게 유파의 구별을 넘어서 만들어진 바디로 김연수의 동초제가 있다. 만정판이 완성되는 데에 지금까지 알려진 송만갑이나 정정렬, 정응민제 이외에 동초제의 영향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만정판 <춘향가> 1958년과 1974년 자료를 비교하여 대목과 내용의 구성적 차이를 살펴 시기별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정정렬제와 동초제의 동일 대목과 비교하여 구성과 특성을 살펴 음악적인 변화와 수용의 내용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김소희 만정판의 대목구성과 내용은 1958년 자료 이후 대개 1974년 음원부터 많은 변화가 있었다. 1958년 자료의 대목 가운데 8개의 대목이 1974년 이후의 자료에서는 삭제되고, ‘쑥대머리’ 대목과 같은 유명 대목이 추가되었다. 또한 14개에 이르는 대목의 내용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대목의 삭제와 추가, 그리고 내용변화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본 결과, 그 모든 과정에서 동초제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정렬제의 수용양상에 대한 내용을 알기 위하여 만정판과 동일한 대목 가운데 ‘방자 분부듣고’와 ‘박석틔’ 대목을 중심으로 그 음악적 내용을 살폈다. 그 결과 만정판은 정정렬제의 사설이나 음악적인 면에서는 많은 변화 없이 거의 그대로 수용했으나, 사설의 추가나 구성의 변화를 주었으며 엇붙임이나 전조를 통한 음악적인 장식을 적극 활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셋째, 동초제의 수용양상을 알아본 결과 만정판은 기존에 포함했던 동초제의 사설을 삭제하거나 변화시켰고, 사설의 이면에 대한 해석에 따라 선율선을 바꾸거나 특정부분을 강조하는 등의 변화를 주었다.따라서 위의 내용을 정리해볼 때 김소희의 음악적 지향성은 ‘새것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되 정통 판소리의 전통을 잇는다’라는 신념이라고 생각한다. 음악 내용을 보면 1958년 자료에서는 만정판 역시 동초제와 같이 연극성이 드러나는 대목들을 많이 포함하여 당시의 판소리 시류를 따라간 것으로 보인 반면, 1974년 이후 자료에서는 송만갑과 정응민제 소리로 교체함으로써 과거로 회귀하는 성향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이러한 점은 이 시대의 정신인 ‘전통과 창의성의 적절한 조화’라는 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새로운 것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되 자기 색을 분명히 발휘하여 수용하는 통찰력을 가진 개척자라는 점에서 그의 소리는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는 타고난 목청과 음악성의 바탕 위에 좋은 대목을 골라내는 정확한 눈을 가졌으며, 새로운 것을 과감하게 수용하되 전통의 그릇에서 다시 다듬어내는 능력을 가진 명창이었던 것이다.

영문 초록

Musical aim of Kim So-Hee's Pansori based on Chunhyang-ga-focused on aspect of the adaptation of Jeonjeongyeolje and DongchojeKim, Kyung HeeKim So-Hee's Chunhyang-ga which is so-called Manjeongpan, was newly composed, based on the music of her master regardless of the boundary of each music school and Kim Yeon-Su's style, Dongchoje was made by overcoming the boundary.It seems that there was an influence of Dongchoje in addition to the musical styles of Song Man-gap, Jeong Jeong-Yeol, and Jeng Eung-Min for the completion of the Manjeongpan. In this paper, I studied the change of structure at each period by considering each song and it's structural difference based on remaining materials of Manjeongpan. And we also examined the change in music and adaptation by comparing the same songs of Jeongjeongyeolje and Dongchoje and by scrutinizing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m. In this study I found several facts as follows.

목차

Ⅰ. 서론
Ⅱ. 김소희 만정판 <춘향가>의 구성
Ⅲ. 만정판의 음악적 수용 양상
Ⅳ. 결론: 김소희 판소리의 음악적 지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희. (2007).<춘향가>를 통해본 김소희 판소리의 음악적 지향. 판소리연구, (), 65-107

MLA

김경희. "<춘향가>를 통해본 김소희 판소리의 음악적 지향." 판소리연구, (2007): 65-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