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 연행에서의 공간 침범과 轉位의 문제

이용수 2

영문명
Spatial encroachment and psychological displacement in Pansori performance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현주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3집, 265~28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판소리에서 형성되는 각종 정서의 흐름들은 공간성의 변화와 공연 주체들의 심리적인 전위 현상으로 치환하여 이해할 수 있다. 공연 현장에서 생성되는 공간들은 어떤 힘의 불균형에 의해 공간들 사이에 침범이 일어나고, 그에 따라 공간적 자질이 변하며, 또 그로 말미암아 공연 주체들의 심리적 위상이나 연행적인 역할이 달라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창자가 일인칭 내적 주관적 시점을 취해 극중 인물이 된 것처럼 모방할 때 청관중은 심리적으로 극중 인물에 동화되는데, 이는 텍스트 내적 공간과 텍스트 외적 공간, 창자와 청관중의 내적 공간과 외적 공간, 허구 공간과 현실 공간, 극중 공간과 연행 공간 등등 다양한 층위의 공간들 사이에 설정된 벽 내지는 경계를 무너뜨리며 전자의 공간들이 후자의 공간들을 침범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그 결과 창자와 청중은 현실적인 존재로서의 위상을 탈각하고 극중 세계 속으로 함몰됨으로써 심리적인 전위를 경험한다. 심리적 이화 상태에서는 반대로 텍스트 외적 공간만이 환기된다. 그것은 텍스트 내적 공간이 붕괴 또는 소멸되면서 생긴 결과이다. 텍스트 내적 공간에서 텍스트 외적 공간으로의 갑작스러운 변화, 허구 공간에서 현실 공간으로의 급변을 통해 청관중은 연행 현장의 지극히 일상적이고 현실적인 개인으로 전환된다. 창자는 자신이 취하고 있는 소리하는 자세라든지 현재의 목 상태라든지 청관중이 보여주는 반응에 대한 자신의 반응 등을 솔직하게 전달하는 현장적 존재임을 드러내고, 청관중 또한 자신이 공연을 즐기러 온 현실적 존재임을 자각하게 된다. 판소리의 청관중은 수동적인 감상만을 행하는 존재가 아니라 능동적이고 창조적인 자율성을 지니고 공연에 참여하는 존재인데, 그 참여 수단이 바로 추임새이다. 심리적 동화 상태에서건 아니면 심리적 이화 상태에서건간에 추임새는 가리지 않고 행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볼 때, 추임새는 텍스트 외적 공간과 텍스트 내적 공간의 사이 또는 틈새를 타고 흐르는 성질의 것이다. 추임새가 난무하는 연행 공간은 하나의 놀이 공간으로 전환된다. 그것은 음악적인 마디를 찾아 공소를 메우는 놀이이자 신체적인 에너지가 결집된 육화된 소리를 통해 판소리 특유의 감흥을 교환하는 놀이이다. 판소리는 이와 같이 세 겹의 공간적 관계 맺기로 구성되는데, 텍스트 내적 공간과 텍스트 외적 공간을 서로 교차적으로 환기시키면서 순환 반복하는 패턴이 주된 축으로 흘러가고, 그 주위를 감싸면서 텍스트 내적 공간과 텍스트 외적 공간의 환기와는 관계 없이 그 두 공간 사이 또는 틈새를 타고 추임새 패턴이 시종 흘러가는 형식인 것이다.

영문 초록

Spatial encroachment and psychological displacement in Pansori performanceKim, Hyun JooThe flow of emotion in Pansori performance could be understood by the concept of spatiality. The disequilibrium of power between spaces causes the transfer of spatial energy, and each performative individual experiences psychological displacement. Audiences are assimilated with dramatic world when Pansori singer imitates persons of drama. In the case of assimilation, the former spaces in inner textual space / outer textual space, inner space of singer and audience / outer space of singer and audience, fictional space / real space, dramatic space / performance space encroach into the latter spaces.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dissimilation, former spaces are extinguished and latter spaces are cited. Through this spatial change audience comes back ordinary and realistic person who is sitting in the theatre. Audience in Pansori attends to the performance actively with their own dramaturgy which the vehicle is the Chuimsae(a sort of flattering shout). Chuimsae occurs in both cases in the state of assimilation and dissimilation. In that point Chuimsae embrace the inner textual space and outer textual space, or locates between that two spaces. The character of performance space with Chuimsae is playing space. It is the play that is filling up the musical blank and exchanging traditional musical joy through lively natural voice fulled with bodily energy. Pansori performance has three-fold spatiality which main axis with the cross-over of inner textual space and outer textual space is working, and another axis, that is, playing space by Chuimsae pattern.

목차

1. 머리말
2. 심리적 동화 상태에서의 공간의 국면
3. 심리적 이화 상태에서의 공간의 국면
4. 청관중의 추임새와 관련된 공간의 국면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주. (2007).판소리 연행에서의 공간 침범과 轉位의 문제. 판소리연구, (), 265-287

MLA

김현주. "판소리 연행에서의 공간 침범과 轉位의 문제." 판소리연구, (2007): 265-2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