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희곡의 진화

이용수 31

영문명
Evolution of the Plays: Event and Structure of Chekhov's Plays “The Wood Demon” and “Uncle Vanya”
발행기관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저자명
백용식
간행물 정보
『러시아학』제27호, 31~5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체홉의 희곡 『숲의 정령』은 1889에 집필되었고, 1896년 『바냐 아저씨』로 개작되었다. 이 연구는 두 작품의 사건과 구조를 비교하여, 두 희곡의 차이를 만들어낸 원인을 탐구하고, 체홉 극작의 진화와 그것의 미학적 성격을 규명한다. 『숲의 정령』을 집필할 때, 체홉은 동시대 연극의 관례에 비판적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는 연극 무대에서 극적인 사건을 보여주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여겼다. 극적인 사건은 일상에서 자주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란 이유였다. 반면에 그는 연극은 실생활의 다양한 양태를 표현해야 한다는 입장을 가졌다. 왜냐하면 실생활은 인간의 희로애락이 드러나는 공간이기 때문이었다. 극적인 사건 대신 실생활을 표현하기 위해 체홉은 새로운 형식이 필요했으며, 『숲의 정령』은 그런 고민의 산물이다. 체홉이 『숲의 정령』에서 보여준 시도는 연극적으로 실패했다. 이 희극은 시골의 일상 표현과 사랑의 모티브가 공존하는 이중적 특징을 가지며, 이때 일상과 사랑의 모티브는 조화되지 않고, 서로가 서로를 방해하고, 밀어낸다. 즉 일상의 표현은 사건의 극적인 전개를 방해하고, 사건은 일상 묘사를 위한 공간을 축소시켰다. 체홉은 새로운 기법과 형식의 희곡을 시도했으나, 동시대 비평들은 정작 『숲의 정령』에서 새로움 대신, 전통적 기법의 부재만을 보았다. 체홉은 기존의 연극기법에 충실하지도, 그것을 완전히 버리지도 못했고, 결과적으로 희극 『숲의 정령』은 새것과 낡은 것이 절충된 작품이 되고 말았다. 체홉은 『숲의 정령』의 개작을 통해, 사건 중심의 전통적 연극기법에서 완전히 빠져나와, 새로운 기법과 형식의 희곡 『바냐 아저씨』를 창작했다. 새 희곡의 장르는 ‘장면(сцена)’이 되었으며, ‘사랑의 사건’ 대신 ‘도착과 출발의 사건’이 극의 중심 내용이 되었다. 『숲의 정령』에서 시간과 공간의 통일성이 유지된 반면, 희곡 『바냐 아저씨』에서 체홉은 시간적 구조화를 포기하고, 공간적 구조화를 선택했다. 그 결과 새 희곡은 사건의 인과적 흐름이 아니라, 한 공간의 다양한 양상들을 보여 준다. 즉 인과성이 약한 파편적이고 단편적인 말과 행위의 조각들이 각 막의 내용이 된다. 『숲의 정령』은 시간구조위에 세워지고, 시간의 인과성, 수미일관성, 순차성의 성격을 유지하는 반면, 『바냐 아저씨』는 시간 대신 공간을 희곡의 구성 원리로 삼아, 연극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영문 초록

Chekhov's play “The Wood Demon” was written in 1889, and was adapted as “Uncle Vanya” in 1896. This study compares the event and structure of the two works, explores the compositional causes that mad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lays, and identifies the evolution of Chekhov's playwriting and its aesthetic characteristics. When writing “The Wood Demon”, Chekhov took a critical attitude towards the conventions of contemporary theater. He thought it inappropriate to show dramatic events on stage, which belong to exceptional phenomena in everyday life. On the other hand, he was of the opinion that theater should express aspects of real life, in which various human emotions are revealed. To represent real life instead of dramatic events in his plays, Chekhov had to create a new form of his play. His attempt resulted in the creation of “The Wood Demon”, which could not be positively evaluated in the world of contemporary theater. “The Wood Demon” is a play with a dual structure in which daily life in the countryside and the motif of love coexist: The expression of daily life hinders the dramatic development of events, and the events reduce the space for detailed description and presentation of social aspects. Chekhov tried to create a play with a new aesthetic, but contemporary critics only saw the absence of traditional conventions instead of something new in his play. His intention to add novelty to the play turned out to be a failure. He was neither faithful to the existing theatrical technique nor completely abandoned it. His comedy “The Wood Demon” ended up being an eclectic work of the new and the old. The adaptation of “The Wood Demon” made it possible for Chekhov to completely get out of the traditional theatrical technique centered on dramatic development of events and create a play “Uncle Vanya” with the new conventions and form. The genre of the new play became ‘scene’, and instead of ‘the event of Love’, ‘the event of Arrival and Departure’ became the center of the content. If the unity of time and space was maintained in “The Wood Demon”, Chekhov gave up temporal structuring and chose spatial structuring in the play “Uncle Vanya”. As a result, the new play shows various aspects of a space, not the causal flow of events: Fragmentary words and actions with weak causality become the content of each act. While “The Wood Demon” is built on the time structure and maintains the causality, consistency, and sequentiality of time, “Uncle Vanya” uses space instead of time as the compositional principle of the play, opening a new horizon for theater.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용식. (2023).희곡의 진화. 러시아학, (), 31-59

MLA

백용식. "희곡의 진화." 러시아학, (2023): 3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