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세 가지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son of Intraocular Pressure Measurements Obtained Using Three Tonometers after Descemet Membrane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최정문 강용구 김홍균 김대우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7, 605~61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리바운드안압계, 비접촉식안압계의 일치도를 비교하고, 안압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을 시행받은 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 분석을 시행하였다. 안압은 비접촉식안압계, 리바운드안압계, 골드만압평안압계 순서로 측정하였다. 세 가지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의 일치도를 평가하였으며, 결과에 영향을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확인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 62.0세의 41명, 49안을 분석하였다. 리바운드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의 안압은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보다 낮게측정되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98, p=0.320). Bland-Altman plot에서 리바운드안압계와 골드만압평안압계 안압의일치도가 비접촉식안압계와 골드만압평안압계 안압의 일치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 회귀분석에서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리바운드안압계의 안압 차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β=0.215, p=0.022), 각막곡률(β=-1.692, p=0.037),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기간(β=0.042, p=0.018)이 확인되었고,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의 안압 차이에서는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β=0.301, p=0.013), 각막곡률(β=-2.670, p=0.010)이 확인되었다. 결론: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을 시행한 안에서 리바운드안압계는 골드만압평안압계와 좋은 일치도 및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안압 측정에 있어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되나,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 각막곡률,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기간 등을 고려하여야 하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the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GAT), iCare IC200 rebound tonometer (IRT), and noncontact tonometer (NCT) in patients who underwent Descemet membrane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 and to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variations in intraocular pressure (IOP) measurements among the three tonomete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41 patients who underwent DSEK. IOP was measured using NCT, IRT, and GAT, in this order. We evaluated the level of agreement among IOP measurements using the three tonometers, and analyzed whether clinical factors affected the results. Results: We analyzed 49 eyes of 41 patients (average age: 62.0 years). The IOP values measured by IRT and NCT were lower than those measured by GAT,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 = 0.098 and p = 0.320, respectively). A Bland-Altman plot showed greater agreement between IOP measurements obtained by IRT and GAT than those obtained by NCT and GAT. In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he IOP measured by GAT (β = 0.215, p = 0.022), corneal curvature (β = -1.692, p = 0.037), and postoperative duration (β = 0.042, p = 0.018) affected the difference in IOPs measured by GAT and IRT. The IOP measured by GAT (β = 0.301, p = 0.013) and corneal curvature (β = -2.670, p = 0.010) affected the difference in IOP measurements obtained by GAT and NCT. Conclusions: In DSEK eyes, IRT showed good agreement and high correlation with GAT, suggesting that it is useful for IOP measurement. However, the IOP measured by GAT, corneal curvature, and postoperative dur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measuring IOP with an IRT.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감안염 환자의 수상안에서 무세포 사람 보존각막을 이용한 구조적 각막이식술
- 근시견인황반병증 환자에서 새로운 L자 황반돌륭을 이용한 황반돌륭술 치료 효과에 대한 증례보고
- 심층 학습을 이용한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의 치료 12개월 후 시력 악화 예측
- 외상성 전방출혈 후 전방깊이의 단기 변화
- 홍채 변형 환자에서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아트로핀을 이용한 이식편의 재유착 유도
- 본태성 안검경련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안압과 건성안 수치의 변화
- 한국 청소년의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이용에 따른 주관적 안건강
- 중간포도막염 환자에서 레이저홍채절개술 후 발생한 방수흐름이상증후군
- 한쪽 관상봉합 두개골조기유합증 환아에서 두개골성형술 5년 후의 안과적 특징
- 단안약시 환자에서 시행한 한국어판 읽기검사 및 시지각검사에 대한 전향적 사전 연구
-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세 가지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 비교
-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후 발생한 난치성 동공끼임 환자에서 변형된 직사각형 고리 봉합 수술 방법
- 망막과 망막색소상피의 복합과오종에 동반된 망막전막과 특발성 망막전막의 비교
- 비스듬한 공막터널을 이용한 무봉합 인공수정체 공막내고정술의 단기 임상 결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