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시견인황반병증 환자에서 새로운 L자 황반돌륭을 이용한 황반돌륭술 치료 효과에 대한 증례보고
이용수 3
- 영문명
- Macular Buckling Surgery Using a Novel L-shaped Buckle for Patients with Myopic Tractional Maculopat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윤한 양지명 김중곤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7, 591~59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근시견인황반병증 환자에서 새로운 형태의 L자 황반돌륭을 이용한 황반돌륭술을 시행하였을 때의 임상적 특징 및 수술적 효과에 대한 증례보고. 대상과 방법: 본 증례보고에는 티타늄 스텐트, 507 스펀지, 실리콘 슬리브를 이용해서 만든 새로운 형태의 L자 황반돌륭이 사용되었다. 티타늄 스텐트의 끝 1/3 지점을 90도로 꺾은 후 해당 부위에 507 스펀지 1 cm를 잘라서 끼우고, 나머지 돌출된 부위는 2 cm의실리콘 슬리브를 감싸주어 총 3 cm 길이가 되게 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L자 황반돌륭은 안구의 상이측 방향으로 접근하여 황반부에스펀지 끝이 위치하도록 하였고, 정확히 위치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술 중 빛간섭단층촬영술(Zeiss Rescan 700, Carl Zeiss, Jena, Germany)을 이용하였다. 결과: 3명의 근시견인황반병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신마취하 새로운 형태의 L자 황반돌륭을 이용한 황반돌륭술을 시행하였다. 모든환자들에서 수술 전 후포도종의 가장 후극부에 중심와가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후방 공막 확장으로 인한 전후 견인이 명확히 관찰되었다. 모든 환자들에서 망막층간분리가 감소하였고, 후포도종이 편평해졌으며, 황반원공이 있는 경우 크기도 줄어듦을 확인하였다. 1명의환자에서는 망막전막에 의한 접선 견인력을 제거하고자 전유리체절제술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심각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근시견인황반병증 환자들에서 새로운 형태의 L자 황반돌륭을 이용한 황반돌륭술 치료가 수직 견인력을 감소시키고 황반부의해부학적 구조를 안정시킴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o describ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myopic tractional maculopathy (MTM) who underwent macular buckling (MB) surgery using a novel L-shaped buckle. Methods: A titanium stent, a style 507 sponge, and a silicone sleeve were used to create an L-shaped macular buckle. The titanium stent was bent through 90° over the last third. The sponge was cut to about 1 cm in length and placed on the extremity. The remaining part of the stent was then covered with a 2-cm-long silicone sleeve; the total buckle length was 3 cm. The buckle was implanted supero-temporally to allow access to the macular region. Intraopera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Zeiss Rescan 700, Carl Zeiss, Jena, Germany) was performed to ensure that the buckle was appropriately positioned. Results: Three patients with MTM underwent MB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In all patients, the foveae lay at the greatest distances possible from the posterior staphyloma. Given the location of the posterior staphyloma and the posterior scleral expansion, anteroposterior traction was evident in every patient. After surgery, although the extent varied, all patients exhibited reduced anteroposterior traction, evidenced by decreased retinoschisis, staphyloma flattening, and smaller macular holes. In one case, vitrectomy was added to release epiretinal membrane-induced tangential traction. No patient reported any significant ocular complication after surgery. Conclusions: MB using an L-shaped buckle, safely and efficiently relieves anteroposterior traction and improves the macular anatomy in patients with MTM.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감안염 환자의 수상안에서 무세포 사람 보존각막을 이용한 구조적 각막이식술
- 근시견인황반병증 환자에서 새로운 L자 황반돌륭을 이용한 황반돌륭술 치료 효과에 대한 증례보고
- 심층 학습을 이용한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의 치료 12개월 후 시력 악화 예측
- 외상성 전방출혈 후 전방깊이의 단기 변화
- 홍채 변형 환자에서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아트로핀을 이용한 이식편의 재유착 유도
- 본태성 안검경련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안압과 건성안 수치의 변화
- 한국 청소년의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이용에 따른 주관적 안건강
- 중간포도막염 환자에서 레이저홍채절개술 후 발생한 방수흐름이상증후군
- 한쪽 관상봉합 두개골조기유합증 환아에서 두개골성형술 5년 후의 안과적 특징
- 단안약시 환자에서 시행한 한국어판 읽기검사 및 시지각검사에 대한 전향적 사전 연구
-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세 가지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 비교
-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후 발생한 난치성 동공끼임 환자에서 변형된 직사각형 고리 봉합 수술 방법
- 망막과 망막색소상피의 복합과오종에 동반된 망막전막과 특발성 망막전막의 비교
- 비스듬한 공막터널을 이용한 무봉합 인공수정체 공막내고정술의 단기 임상 결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