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상성 전방출혈 후 전방깊이의 단기 변화
이용수 2
- 영문명
- Short-term Changes in Anterior Chamber Depth after Traumatic Hyphem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권윤성 백혜정 김동현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7, 566~572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외상성 전방출혈 환자에서 수상 1달째까지의 전방깊이의 단기간 변화 양상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5년 10월부터 2019년 7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외상성 전방출혈 환자 32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이중 1달 째까지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환자는 총 19명이었다. IOLMaster ® 500을 통해 측정한 수상 직후 및 수상 1달째 환측과 반대측의 전방깊이와 그 차이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육안상 전방출혈군과 미세전방출혈군 사이에 환측과 반대측 간의 전방깊이의차이, 나이에 따른 환측과 반대측의 전방깊이의 차이의 상관성을 각각 추가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6.0 ± 14.2세였으며, 남자는 24명(75%)이었다. 수상 직후 환측의 전방깊이는 3.81 ± 0.38 mm로 반대측의 전방깊이 3.55 ± 0.43 mm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021), 수상 1개월 후 환측의 전방깊이는 3.73 ± 0.37 mm로 반대측의 전방깊이 3.61 ± 0.37 mm에 비해 여전히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수상 직후 육안상 전방출혈군과 미세전방출혈군 사이에 환측과 반대측 간의 전방깊이, 전방깊이/안축장 길이의 차이는 유의한 다름을 보이지 않았다(p=0.951/0.981). 환측은 수상 직후3.87 ± 0.40 mm의 전방깊이를 보였으나, 수상 1개월 후 3.73 ± 0.37mm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3). 수상 직후 고령일수록유의하게 전방깊이의 차이가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R=0.387, p=0.018). 결론: 전방출혈이 발생한 눈에서 반대측에 비해 수상 직후 유의한 전방깊이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또한 이러한 증가는 수상 1달 후감소하지만 여전히 반대측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analyze short-term changes in anterior chamber depth (ACD) immediately and 1 month after traumatic hyphema. Methods: Thirty-two patients with traumatic hyphema treated from October 2015 to July 2019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Nineteen were followed-up for 1 month. The ACDs were measured using an IOL Master 500 platform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ffected and contralateral eyes immediately after trauma and 1 month after treatment analyzed. The ACD differences between the affected and contralateral eyes of those with gross and microscopic hyphema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CD differences of the two eyes were analyzed by age. Results: The average age was 36.0 ± 14.2 years and 24 patients were male (75%). The ACDs of affected eyes were greater than those of contralateral eyes both immediately after trauma (3.81 ± 0.38 vs. 3.55 ± 0.43 mm; p = 0.021) and 1 month after trauma (3.73 ± 0.37 vs. 3.61 ± 0.37 mm; p = 0.001). The ACD gaps and ACD/axial length ratios (%)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injured and contralateral eyes of the gross and microscopic hyphema groups immediately after trauma (p = 0.951/0.981). The ACDs of affected eyes decreased 1 month after trauma compared to immediately after trauma (3.73 ± 0.37 vs. 3.87 ± 0.40 mm; p = 0.013). The ACD difference immediately after trauma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older age (R = 0.387, p = 0.018). Conclusions: The ACDs of eyes with traumatic hyphema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alateral eyes immediately after trauma. The ACDs decreased after treatment but 1 month later were still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ACDs of the contralateral side.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감안염 환자의 수상안에서 무세포 사람 보존각막을 이용한 구조적 각막이식술
- 근시견인황반병증 환자에서 새로운 L자 황반돌륭을 이용한 황반돌륭술 치료 효과에 대한 증례보고
- 심층 학습을 이용한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의 치료 12개월 후 시력 악화 예측
- 외상성 전방출혈 후 전방깊이의 단기 변화
- 홍채 변형 환자에서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아트로핀을 이용한 이식편의 재유착 유도
- 본태성 안검경련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안압과 건성안 수치의 변화
- 한국 청소년의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이용에 따른 주관적 안건강
- 중간포도막염 환자에서 레이저홍채절개술 후 발생한 방수흐름이상증후군
- 한쪽 관상봉합 두개골조기유합증 환아에서 두개골성형술 5년 후의 안과적 특징
- 단안약시 환자에서 시행한 한국어판 읽기검사 및 시지각검사에 대한 전향적 사전 연구
-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세 가지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 비교
-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후 발생한 난치성 동공끼임 환자에서 변형된 직사각형 고리 봉합 수술 방법
- 망막과 망막색소상피의 복합과오종에 동반된 망막전막과 특발성 망막전막의 비교
- 비스듬한 공막터널을 이용한 무봉합 인공수정체 공막내고정술의 단기 임상 결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