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상태자존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61

영문명
The Effects of State Self-Esteem on SNS Addic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박지경 김지온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23호, 19~3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s,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이용률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청소년기와 성인기 사이의 성인진입기로 자아정체감 확립과 성인생활을 준비해야 하는 대학생의 상태자존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올바른 상태자존감을 확립하고 SNS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B시에 소재한 2개 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9일부터 3월 15일까지 Google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26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부정확한 응답이 이루어진 2부를 제외하고 25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Duncan 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상태자존감은 하위요인 중 ‘기능적 자존감’은 학년 및 SNS 사용시간, ‘본질적 자존감’은 성별, ‘사회적 자존감’은 성별, 학년, SNS 사용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중독경향성은 성별, SNS 사용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중독경향성은 기능적 자존감, 본질적 자존감, 사회적 자존감과 모두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여자 및 SNS 사용시간은 양(+)의 영향, 기능적 자존감 및 사회적 자존감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첫째, 대학에서 SNS 중독예방프로그램 운영 시 성별에 따른 특징을 반영하면서 ‘본질적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과도한 SNS 이용을 하지 않으면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낮출 수 있는 관계 형성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올바른 SNS 사용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우울감 · 불안감을 낮추고 ‘기능적 자존감’과 ‘사회적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자존감 강화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self-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who need to establish self-identity and prepare for adult life at the present time when SNS (social network services) use rate is rapidly increasing. It was attempted to help establish the right state self-esteem by identifying the impact and to help prepare measures to prevent SNS addic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a Google questionnaire from March 9 to March 15, 2023,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located in B city. 26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25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2 copies with incorrect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5.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state self-esteem, 'functional self-esteem'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level and SNS usage time, 'essential self-esteem' by gender, and 'social self-esteem' by gender, grade level, and SNS usage time. Seco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SNS usage time. Third, SNS addiction tendenc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correlation with functional self-esteem, essenti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Fourth, as for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tendency, gender female and SNS use time had a positive (+) effect, function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had a negative (-) effect. In conclusion, first, when operating an SNS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at a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apply a program that can increase 'essential self-esteem' whil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der. Second, a relationship building program that can reduce the difficul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out excessive use of SNS should be conducted. Third, it is necessary to apply a self-esteem strengthening program that can lower depression and anxiety and increase 'function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as well as educational programs on the correct use of S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경,김지온. (2023).대학생의 상태자존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 19-35

MLA

박지경,김지온. "대학생의 상태자존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2023): 19-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