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회교육의 디지털 전환?

이용수 95

영문명
A Digital Shift in Church Education?: Critical Reflections on ‘Disembodiment’ as an Anthropological Premise
발행기관
개혁신학회
저자명
윤형철
간행물 정보
『개혁논총』제64권, 67~9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 추세를 미러링하여 교회교육에서도 메타버스를 활용하자는 주장이 대두되는 상황에서, 교회교육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의 인간론적 전제인 ‘탈신체성’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메타버스와 디지털 플랫폼의 배후에는, 디지털화된 삶의 방식을 지지하기 위해 탈신체화된 인간을 긍정하고 장려하는 트랜스휴머니즘이 있으며, 이는 데카르트의 심신 이원론과 코기토 인간론에서부터 기원한다. 데카르트와 트랜스휴머니즘을 관통하는 기계적 인간론에 항변하기 위해, 기독교 신학은 다음의 세 가지 목소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첫째, 블레즈 파스칼은, 사유하는 인간 자아가 인식의 독단적인 주체로 서는 코기토 인식론과 대조적으로, 하나님의 자기계시와 이를 인식하도록 선물해주시는믿음으로 눈뜨는 ‘아그레망(agrément, 끌림)’의 인식론을 주장한다. 둘째, 마르틴 부버의 대화적 인간론은 데카르트가 분리시킨 영혼과 신체, 이성과 감정, 인간과 세계, 나와 타자 사이를 다시 통합하여 ‘전체로서의 인간’(the wholeness of man)을 회복한다. 그에 따르면, 참된 인간성과 인간다운 삶은 오직 타자와의 만남과 관계에서 형성된다. 진정한 교육은 몸을 가지고 참여하는 세상에서 교사와 학생이 상호개방적인 신뢰 속에서 맺는 두 주체 사이의 관계이자 공통된 체험이어야 한다. 셋째, 휴버트 드레이퍼스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대체할 수 없는 인간 의식의 독특함이 ‘신체성을 토대로 맺는 세계와의 직접적 관계’에 있다고 주장한다. 인간을성숙시키는 교육은 ‘신체적 직접성이 전제로 체화된 교육’이어야 한다. 따라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이뤄지는 교육이 탈신체화된 지성만을 강조하며 인간 존재의 전체성과 신체성을 외면한다면, 그것은 이들의 심오한 통찰에 어긋나며 동시에 기독교적 인간론의 전제와 상충한다. 다음 세대의 교회교육을 위한 담론과 실천은 인간의 전인적 존재성과 세계로의 성육신적 참여를 전제하여야 하며, 그 전제와 상충하는 것들을 쉽게 허용해서는 안 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ritically considers ‘disembodiment’, an anthropological premise of digital transformation,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church education. In order to defy the mechanistic anthropology that affirms and encourages disembodied humans to support a digitalized way of life, Christian theology needs to pay attention to three voices. First, Blaise Pascal criticizes the cogito epistemology in which the thinking human ego stands as an arbitrary subject of cognition. On the contrary, Pascal’s agrément epistemology emphasizes God’s self-revelation and thus the faith that enables us to recognize it. Second, Martin Buber's dialogic anthropology seeks to restore ‘the wholeness of man’ by reintegrating the soul and body, reason and emotion, man and the world, and me and the other, which were separated by Descartes. True humanity and humane life are formed only in encounter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Authentic education must be a relationship between two subjects, a shared experience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n mutual, open trust, in a bodily, participatory world. Third, Hubert Dreyfus argues that the uniqueness of human consciousness, which cannot be repla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lies in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world based on physicality. ‘Education embodied on the premise of physical directness’ can mature a human being. Judging from the insights of those who warned of a disembodied intelligence that ignores the totality and physicality of human existence, the discourse and practice for the next generation’s church education must presuppose the whole human existence and incarnated participation in the world.

목차

1 들어가는 글
2 디지털 전환 배후의 인간론
3 디지털 인간론에 대한 세 가지 반립
4 나가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형철. (2023).교회교육의 디지털 전환?. 개혁논총, (), 67-96

MLA

윤형철. "교회교육의 디지털 전환?." 개혁논총, (2023): 67-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