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성 정신질환자 보호자의 가족부담과 서비스 욕구
이용수 61
- 영문명
- Family Burden and Mental Health Service Need of the Chronic Mentally Ill’s Care-Takers
- 발행기관
- 대한사회정신의학회
- 저자명
- 박혜영 배안 김진학 김명규
- 간행물 정보
- 『사회정신의학』제5권 제2호, 197~20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전라남도 나주시에 거주하는 만성 정신질환자 보호자를 대상으로 보호자의 부담정도와 정신보건서비스에 대한 욕구 및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나주시에 거주하는 만성 정신질환자 표본에서 면담에 동의하고 조사에 응한 113명의 보호자들이었다. 이들에게 본 조사를 위해 표준화된 가족부담척도, 인구사회학적 자료 및 서비스 욕구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담을 시행하였다.
결 과:
1) 가족부담은 정서적 부담(98.2%)이 제일 많았고, 다음으로 객관적 일상생활지원부담(66.4%), 주관적 경제적 부담(49.0%) 순서였다.
2) 정신보건서비스 욕구에서는 응급치료에 대한 욕구가 92.0%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회기술훈련(84.0%), 여가활동(80.3%), 직업재활(76.8%) 등 정신사회재활프로그램 등이 많았다.
3) 가족부담과 서비스 욕구 사이의 상관관계에서는 주간보호센터가 일상생활지원부담과 지도감독부담, 일상생활부담, 정서적 부담 모두를 경감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평가되었고, 약물관리와 사회기술훈련, 일상생활기술훈련프로그램은 일상생활지원부담, 일상생활부담, 정서적 부담을, 그리고 응급치료는 지도감독부담과 일상생활부담, 정서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정서적 부담은 정신의료, 정신사회재활, 사회복지 서비스의 거의 모든 프로그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지역사회관리체계에는 가장 많은 서비스 욕구를 보인 응급치료와 다양한 영역의 가족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주간보호센터, 약물관리, 사회기술훈련, 일상생활기술훈련 등의 서비스 제공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amily burden, service need and correlation between them in care givers of the mentally ill for planning of community mental health system in one community.
Methods:Family Burden Interview Schedule and Service need scale for mental health were administrated to 113 subjects who had psychiatric patients in their family. One hundred and thirteen persons who had psychiatric patients in their families were interviewed using Family Burden Interview Schedule and Service need scale for mental health.
Results:
1) In the rate of family burden, worry(98.2%) was highest, and followed by objective burden of activities of daily life(66.4%).
2) In the rate of service need for mental health, emergency and crisis intervention was 92.0%, social skill training was 84.0%.
3) In correlation between family burden and service need for mental health, worr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any mental health services and day care center, medication management, social skill training, day living skill train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ore than five family burdens.
Conclusion:Emergency and crisis intervention, day care center, medication management, social skill training, daily living skill training were evaluated as important programs for planning of community mental health system in Naju city.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고 찰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Cancer Patients
- Diminished Compensatory Energy Production Following Hypoxic Stress in the Prefronta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 Prenatal Mental Health and Its Stress-Process Mechanisms During a Pandemic Lockdown: A Moderated Parallel Mediation Mode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