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집단기억 현상을 통하여 본 북한 사회 이해

이용수 14

영문명
Collective Memory and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Society
발행기관
대한사회정신의학회
저자명
전우택
간행물 정보
『사회정신의학』제5권 제2호, 179~19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통적으로 인간의 기억이란 개인적이고 상황과 무관한 독립적인 신경생리적 현상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기억의 사회적, 집단적 성격이 집중적으로 부각되게 되었다. 그것은 개인의 인식이 사회적 영향을 받으며, 기억을 타인에게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사회화되며, 이야기된 기억은 집단의 기억으로 바뀌기 때문이었다. 특히 북한에 대한 이해에 있어 공산주의 국가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의식의 집단화가 집단기억과 연결되며, 북한에서는 그 지도부가 통치 수단으로서 집단기억을 이용하였으며, 북한 사람들의 의식 구조와 행동 양식의 이해를 위하여 집단기억에 대한 연구가 필요로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연구된 집단기억 현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하고 특히 각 내용에 있어 북한적 현상과 연결시킬 수 있는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집단기억은 정치와 종교, 사회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이것은 사회 질서를 정당화하고, 집단 구성원의 정체성을 형성하며, 집단의 유지와 재생산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 형상 과정은 개인의 기억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기전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다. 즉 단순화와 압축, 강조와 동화, 정교히 수정됨과 관습화 등이 그것이다. 또한 집단기억은 집단의 필요에 따라 왜곡되는 현상도 있으며 그러한 왜곡 기전은 기억의 재구성, 기존 인지 틀을 새로 짜는 것, 기억 회상에 대한 회피와 감정적 마비 등의 인지적 불일치를 처리하는 것과 선택적 생략, 조작, 과장과 미화, 연결과 분리, 적에 대한 비난, 환경을 비난하는 것, 상황적 틀을 조정하는 것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집단기억의 현상은 북한에 있어서는 그 지도부가 하나의 생존전략으로 이용하여 왔으며, 전 국민을 하나로 결집시키는데 효과적인 도구로 이용하여 왔음이 그들의 역사 해석, 대중 선동, 교육 부분 등에서 뚜렷이 나타난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그것이 북한 주민들에게는 자존심을 높이는 일로 받아들여져 상승 작용을 한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집단기억은 북한 국민들의 의식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보여, 향후 북한과 북한 사람들의 의식 구조와 행동 방식의 연구에 대한 주요 연구 주제가 될 필요성을 나타내 보인다 하겠다.

영문 초록

Until the late 1970s, memory was viewed as an essentially biological and individual process which is context-free, and isolated psychological phenomenon. A significant turning point in this way of thinking was advanced that memory, as it occurs in everyday life, was powerfully influenced by social factors. Indeed, social process have now been demonstrated to affect encoding, retrieval, and the maintenance of memories. Memory, then, may be considered a social rather than an individual phenomenon. The social or collective aspects of memory can be thought as follows. First, memory has a social aspect in the perception level. Second, memory is“socialized” by the process of telling the story to the others. Third,“individual memory” becomes the group’s“collective memory” because when a group listens the story about one group member’s experience, the group makes the content of the story a part of their own in the form of religion, politics, art, and social activity. Examples of collective memory can be seen in Flash Bulb Memory phenomenon, Commemorative ceremonies, and Religion. Collective memory has these social functions. First, it justifies current social order. Second, it makes the identity of one group. Third, collective memory helps to maintain and reproduce the group. Since collective memory has a tangible role in a society or group, i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real situations and needs of the group. Collective memory includes not only the objective historical facts, but also“presumed” memory which the group wants to have for the group’s positive self-image. Mechanisms for the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are as follows. Leveling-Simplification and Condensation, Accentuation and assimilation, Elaboration, Convention-alization And the Mechanism of distortion of collective memory such as Selective omission, Fabrication, Exaggeration and Embellishment, Linking and Detaching, Blaming the enemy, Blaming Circumstances, Contextual Framing was discussed. In th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the collective memory phenomenon seems to be important for several reasons. First, all communist countries tried to make their people have way of collective thinking for their economical principle, and this collective memory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way of collective thinking. Second, leadership of North Korea involving Kim Il-Sung and Kim Jung-Il have used this collective memory as a main tool of their ruling North Korean people in various ways. Third, to understanding North Korea people’s way of thinking and behavior pattern, collective memory phenomenon in North Korea gives a lot of cues. So in this study North Korea’s national annual of 1993-1996 was analyzed critically and searched the example of collective memory in North Korea.

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우택. (2000).집단기억 현상을 통하여 본 북한 사회 이해. 사회정신의학, 5 (2), 179-196

MLA

전우택. "집단기억 현상을 통하여 본 북한 사회 이해." 사회정신의학, 5.2(2000): 179-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