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테니스 포핸드 스트로크 시 그립 형태에 따른 하지관절 움직임 및 상지근의 변화 차이 분석
이용수 38
- 영문명
- Analysis of changes in lower limb joint movement and upper limb muscles according to grip shape during tennis forehand stroke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황용재 강영석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14권 제1호, 215~22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남자 테니스 동호인 5명을 대상으로 포핸드 스트로크 시 세미웨스턴 그립과 웨스턴 그립의 하지 움직임을확인하고 상지의 근활성도를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전체 구간별 소요시간은 유의한 차이가나타나지 않았으나 세미웨스턴 그립이 P1, 웨스턴 그립이 P2에서 평균적으로 빠른 소요시간을 나타냈다. 둘째, 신체중심 전후, 좌우, 상하 위치변화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임팩트 순간 좌우 폭의 변화를 줄여회전력을 크게하고 전방의 이동으로 체중이동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지 관절각도에서 좌측 고관절 E1에서 세미웨스턴 그립과 웨스턴 그립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세미 웨스턴 그립의 좌측 고관절에서 신전이 크게 나타났고(p<.05), 우측 족관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넷째, 근활동에서는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지의 운동에너지를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 광배근과 척추기립근의 동원으로 몸통회전을 일으키고 강한 스윙을 위해 삼각근과 완요골근의 활성을 임팩트까지 효율적으로 하여 볼에 운동량을 전달하는것이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to examined the lower extremity movements of the semi-western and western grips during the forehand stroke in five male tennis players and determin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extremities,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overall duration of each segmen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semi-western grip showed faster duration on average at P1 and the western grip at P2. Second, it was found that it is desirable to reduce the change in left-right width at the moment of impact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and facilitate the weight transfer with anterior movement. Third, the lower extremity joint angl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ft hip joint E1 (p<.05),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ight ancle joint. Fourth, the mobilization of the spinae muscles to generate trunk rotation for smooth transfer of lower extremity kinetic energy and the activity of the deltoid and hip flexor muscles for a strong swing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transferring momentum to the ball.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테니스 포핸드 스트로크 시 그립 형태에 따른 하지관절 움직임 및 상지근의 변화 차이 분석
- MZ세대 골프참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자기관리 및 운동몰입의 구조적 관계
- 12주간 코어트레이닝이 대학축구선수의 신체조성, 등속성근기능 및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
- 무용수와 안무가의 교환관계(LMX)가 무용수의 자기효능감 및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서해 서핑 참여자의 참여 유형에 관한 Q 방법론적 연구
- 게임 참여자의 참여동기, 게임몰입, 프로e스포츠팀 동일시의 구조적 관계 분석
- COVID-19에 따른 저항성 운동의 문헌 고찰
- 중국 엘리트 수영지도자의 윤리의식 연구
- 태권도 선수의 객관적/주관적 수행력이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미치는 영향
- 팬데믹 상황에 따른 중국 태권도장 경영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연구
- SUP 활동 참여 청소년의 그릿과 마인드셋 및 운동지속의 구조관계 검증
- 그릿이 고등학교 농구선수의 성취목표지향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남자 축구선수의 심리적 요인이 경기몰입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우슈선수의 스트레스, 자기관리, 운동정서 및 위기대처의 관계
- 고등학교 검도선수들의 실수인식과 자아탄력성,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 재한 중국 이주노동자의 삶과 여가문화에 대한 문화기술적 해석
- 청소년의 여가시간 좌식행동과 중·고강도 신체활동 및 근력운동이 범불안장애에 미치는 영향
- 골프레슨 참여 의사 결정 과정
- 재한 체육학 전공 중국 대학원생의 고민, 문화적응과 성장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4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 목 통증 재발의 위험인자에 관한 추적 조사
-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자율성 동기의 역할: 스코핑 리뷰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스포츠 이벤트 관중의 지각된 기능적 가치, 소비감정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Mehrabian-Russell 모델을 통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6권 제1호 목차
- 스포츠 인공지능 활용의 서비스 가치, 신뢰, 심리적 반응의 관계: 야구 자동투구판정(ABS) 시스템 경험 선수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