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2주간 코어트레이닝이 대학축구선수의 신체조성, 등속성근기능 및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64
- 영문명
- Effect of 12-week Cor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Isokinetic Muscle Function and Balance in College Soccer Players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안상훈 장지석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14권 제1호, 187~19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2주간 코어트레이닝이 대학축구선수의 체성분, 등속성근기능과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있다. 운동집단(n=10)은 12주간 주 3회 60분으로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대조집단(n=11)은 일반적인 훈련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aired t-test와 이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그룹 내, 그룹 간변화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 내에서 운동집단은 신체조성의 차이는 없었고, 대조집단은 근육량과 체지방률이 감소하였으며(p<.01), 체중요인에서만 그룹 간 차이가 있었다. 둘째, 등속성 근기능은 운동집단 내에서만 60˚/sec 체간 신전근력은 감소(p<.05)하였고, 60˚/sec, 120˚/sec의 체간 굴곡근력이 증가(p<.01)하였으며, 그룹 간 차이도 있었다(p<.01). 셋째, 균형성은 그룹 내 차이는 없었으며, 선 자세에서 후방 족저압이 그룹간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적으로 코어트레이닝은 대학축구선수들의 신체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몸통의 굴곡근력과 신전근력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축구기술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week cor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isokinetic muscle function and balance in college soccer players. The training group(TG) exercised 60min, 3times/week for 12weeks, and control group(CG) were usual training.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two way ANOVA, paired t-tests for between and within group changes using the SPSS 26.0 program,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in group, TG was no difference in body composition, but CG was decrease in muscle mass, body fat percentage. Between groups results indicated significance differences in body weight. Second, isokinetic muscle decreased trunk extensor at 60˚/sec, and increased trunk flexor at 60˚/sec, 120˚/sec, only within the TG. There was also a difference between groups. Finally, balanc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bu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plantar pressure for the posterior in standing. In conclusion, core training can prevent the decline of body composition in college soccer players and we expected to improve soccer technical skill by resolving imbalance between trunk flexor and extensor strength.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테니스 포핸드 스트로크 시 그립 형태에 따른 하지관절 움직임 및 상지근의 변화 차이 분석
- MZ세대 골프참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자기관리 및 운동몰입의 구조적 관계
- 12주간 코어트레이닝이 대학축구선수의 신체조성, 등속성근기능 및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
- 무용수와 안무가의 교환관계(LMX)가 무용수의 자기효능감 및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서해 서핑 참여자의 참여 유형에 관한 Q 방법론적 연구
- 게임 참여자의 참여동기, 게임몰입, 프로e스포츠팀 동일시의 구조적 관계 분석
- COVID-19에 따른 저항성 운동의 문헌 고찰
- 중국 엘리트 수영지도자의 윤리의식 연구
- 태권도 선수의 객관적/주관적 수행력이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미치는 영향
- 팬데믹 상황에 따른 중국 태권도장 경영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연구
- SUP 활동 참여 청소년의 그릿과 마인드셋 및 운동지속의 구조관계 검증
- 그릿이 고등학교 농구선수의 성취목표지향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남자 축구선수의 심리적 요인이 경기몰입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우슈선수의 스트레스, 자기관리, 운동정서 및 위기대처의 관계
- 고등학교 검도선수들의 실수인식과 자아탄력성,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 재한 중국 이주노동자의 삶과 여가문화에 대한 문화기술적 해석
- 청소년의 여가시간 좌식행동과 중·고강도 신체활동 및 근력운동이 범불안장애에 미치는 영향
- 골프레슨 참여 의사 결정 과정
- 재한 체육학 전공 중국 대학원생의 고민, 문화적응과 성장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4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 목 통증 재발의 위험인자에 관한 추적 조사
-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자율성 동기의 역할: 스코핑 리뷰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스포츠 이벤트 관중의 지각된 기능적 가치, 소비감정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Mehrabian-Russell 모델을 통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6권 제1호 목차
- 스포츠 인공지능 활용의 서비스 가치, 신뢰, 심리적 반응의 관계: 야구 자동투구판정(ABS) 시스템 경험 선수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