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Z세대 골프참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자기관리 및 운동몰입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53
-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s, Self-Management and Exercise Flow for MZ Generation Golf Participants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김형진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14권 제1호, 25~3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MZ세대 골프참여자를 상대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자기관리 및 운동몰입에는 변인간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데이터는 윈도우즈용 SPSS 18.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모형을 설계한 후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요인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과 연구모형 검증을 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MZ세대 골프참여자들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자기관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관리는 운동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운동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운동몰입의 관계에서 자기관리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MZ세대의 골프를 통한 운동몰입의 향상을 위해 이들의 특성을 고려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배양과효율적인 자기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다각적인 프로그램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s, self-management and exercise flow for a MZ generation, golf participant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ng modeling were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data by using Windows SPSS 18.0 and AMOS 21.0.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competence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management. Second, self-man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flow. Third, communication competences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flow. Fourth, self-manage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s and exercise flow.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exercise immersion through golf of the MZ generation, a multifaceted program should be sought so that smooth communication ability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efficient self-management can be achieved.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테니스 포핸드 스트로크 시 그립 형태에 따른 하지관절 움직임 및 상지근의 변화 차이 분석
- MZ세대 골프참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자기관리 및 운동몰입의 구조적 관계
- 12주간 코어트레이닝이 대학축구선수의 신체조성, 등속성근기능 및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
- 무용수와 안무가의 교환관계(LMX)가 무용수의 자기효능감 및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서해 서핑 참여자의 참여 유형에 관한 Q 방법론적 연구
- 게임 참여자의 참여동기, 게임몰입, 프로e스포츠팀 동일시의 구조적 관계 분석
- COVID-19에 따른 저항성 운동의 문헌 고찰
- 중국 엘리트 수영지도자의 윤리의식 연구
- 태권도 선수의 객관적/주관적 수행력이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미치는 영향
- 팬데믹 상황에 따른 중국 태권도장 경영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연구
- SUP 활동 참여 청소년의 그릿과 마인드셋 및 운동지속의 구조관계 검증
- 그릿이 고등학교 농구선수의 성취목표지향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남자 축구선수의 심리적 요인이 경기몰입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우슈선수의 스트레스, 자기관리, 운동정서 및 위기대처의 관계
- 고등학교 검도선수들의 실수인식과 자아탄력성,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 재한 중국 이주노동자의 삶과 여가문화에 대한 문화기술적 해석
- 청소년의 여가시간 좌식행동과 중·고강도 신체활동 및 근력운동이 범불안장애에 미치는 영향
- 골프레슨 참여 의사 결정 과정
- 재한 체육학 전공 중국 대학원생의 고민, 문화적응과 성장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4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 목 통증 재발의 위험인자에 관한 추적 조사
-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자율성 동기의 역할: 스코핑 리뷰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스포츠 이벤트 관중의 지각된 기능적 가치, 소비감정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Mehrabian-Russell 모델을 통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6권 제1호 목차
- 스포츠 인공지능 활용의 서비스 가치, 신뢰, 심리적 반응의 관계: 야구 자동투구판정(ABS) 시스템 경험 선수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