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VID-19에 따른 저항성 운동의 문헌 고찰
이용수 20
- 영문명
- A litterateur review of resistance exercise following COVID-19: Focusing on the benefits of resistance exercise and the appropriate exercise intensity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김영일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14권 제1호, 165~17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OVID-19에 따른 저항운동의 이점과 효과에 대해 기존 연구들을 조사하였다. 논문 데이터 검색은 Pub Med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검색 도구는 [MeSH]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원하는 문헌주제가 제외되지 않기 위해추가로 자연어 검색을 통해 문헌 검색의 질을 높였으며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11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저항성운동은 유산소 운동과 더불어 원초적이며 대표적인 운동 형태이며 체력증진 및 건강 향상, 질환, 재활 등에 다양한이점이 있다. 이러한 저항운동의 특성은 시간과 공간적 제약이 있는 현재의 With COVID-19 시대에 적절한 운동형태이다. 따라서 본 조사연구를 실시한 결과, COVID-19 감염 중에 적절한 저항성 운동 강도는 낮은 반복회수(≤ 6RM)와 세트 사이는 긴 휴식(≥2분)이 필요하고 최대하 노력(≤ RPE 7)으로 30분 정도의 운동시간이 권장된다. 결론적으로 저항성 운동은 면역기능과 호흡기능을 활성화시키며 입원 중의 조기치료에 효과가 있다. 또한COVID-19 감염 예방과 퇴원 후의 급격한 근 감소로 인한 합병증 방지 및 재활운동에도 반드시 필요한 수단으로권장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existing studies on the benefits and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in response to COVID-19. Paper data retrieval was analyzed through Pub Med. The search tool was analyzed using [MeSH], and the quality of the literature search was further improved through natural language search in order not to exclude the desired literature subject, and the final 11 studi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resistance exercise is a primitive and representative form of exercise along with aerobic exercise, and has various benefits such as physical strength, health improvement, disease, and rehabilitatio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tudy, the appropriate resistance exercise intensity during COVID-19 infection is to set a low number of repetitions (≤6RM), long rest (≥2 minutes) between sets, and submaximal effort (≤ RPE 7), 30 minutes of exercise is recommended. In conclusion, resistance exercise activates immune function and respiratory function, It is also resistance exercise is recommended as an essential exercise to prevent complications caused by rapid muscle loss after discharge from COVID-19.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테니스 포핸드 스트로크 시 그립 형태에 따른 하지관절 움직임 및 상지근의 변화 차이 분석
- MZ세대 골프참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자기관리 및 운동몰입의 구조적 관계
- 12주간 코어트레이닝이 대학축구선수의 신체조성, 등속성근기능 및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
- 무용수와 안무가의 교환관계(LMX)가 무용수의 자기효능감 및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서해 서핑 참여자의 참여 유형에 관한 Q 방법론적 연구
- 게임 참여자의 참여동기, 게임몰입, 프로e스포츠팀 동일시의 구조적 관계 분석
- COVID-19에 따른 저항성 운동의 문헌 고찰
- 중국 엘리트 수영지도자의 윤리의식 연구
- 태권도 선수의 객관적/주관적 수행력이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미치는 영향
- 팬데믹 상황에 따른 중국 태권도장 경영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연구
- SUP 활동 참여 청소년의 그릿과 마인드셋 및 운동지속의 구조관계 검증
- 그릿이 고등학교 농구선수의 성취목표지향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남자 축구선수의 심리적 요인이 경기몰입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우슈선수의 스트레스, 자기관리, 운동정서 및 위기대처의 관계
- 고등학교 검도선수들의 실수인식과 자아탄력성,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 재한 중국 이주노동자의 삶과 여가문화에 대한 문화기술적 해석
- 청소년의 여가시간 좌식행동과 중·고강도 신체활동 및 근력운동이 범불안장애에 미치는 영향
- 골프레슨 참여 의사 결정 과정
- 재한 체육학 전공 중국 대학원생의 고민, 문화적응과 성장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4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 목 통증 재발의 위험인자에 관한 추적 조사
-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자율성 동기의 역할: 스코핑 리뷰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스포츠 이벤트 관중의 지각된 기능적 가치, 소비감정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Mehrabian-Russell 모델을 통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6권 제1호 목차
- 스포츠 인공지능 활용의 서비스 가치, 신뢰, 심리적 반응의 관계: 야구 자동투구판정(ABS) 시스템 경험 선수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