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한 중국 이주노동자의 삶과 여가문화에 대한 문화기술적 해석
이용수 49
- 영문명
- Ethnography of life and leisure culture for Chinese migrant worker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주연염 사혜지 이철원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14권 제1호, 47~6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방법 중 하나인 문화기술지(ethnography) 방법으로 중국 이주노동자들의 한국 생활 적응에영향을 미치는 여가문화를 알아보는데 주목적이 있다. 눈덩이 수집법(Snowball Sampling)을 통하여 총 11명의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고 최종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상위 범주 4개, 하위 범주 8개의 범주로 추출되었다. 먼저, 직종에 따라 중국 이주노동자들이 선택하는 여가 활동 방식에서 차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이트칼라노동자들은 다양하고 활기찬 활동을 즐기는 편이었으며, 블루칼라 노동자들은 체력 회복과 같은 온화한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 이주노동자들은 한국문화에 적응할 때 '통합'과 '분리'의 두 가지 현상을 보였다. ‘통합’ 현상의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분리’ 현상에 있는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만의 생활패턴을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 노동자들은 많은 문화 차이로 인해 일상생활과 직장에서 다양한 어려움을겪고 있다. 이런 억눌린 감정들은 같은 이주노동자와 서로 하소연하며 그들은 끼리 공감대를 형성하고 가족처럼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ife and leisure culture affecting the adaptation of Chinese migrant workers living in Korea through an ethnographic approach of qualitative research. A total of 11 people were recruited through Snowball Sampling. Finally 10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Meaningful results were extracted from the study for four upper-level categories and eight lower-level catego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study participants show differentiation in the way they choose leisure activities. White-collar workers enjoy a variety of physically-active activities. However, blue-collar workers prefer gentle activities. Chinese migrant workers show two phenomena when adapting to culture: “integration” and “separation”. The study participants in the “integration” phenomenon actively embraced Korean culture, while the study participants in the “separation” phenomenon maintained their own life patterns. In addition, They empathise with their own kind and form a sympathetic bond and a family-like relationship.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테니스 포핸드 스트로크 시 그립 형태에 따른 하지관절 움직임 및 상지근의 변화 차이 분석
- MZ세대 골프참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자기관리 및 운동몰입의 구조적 관계
- 12주간 코어트레이닝이 대학축구선수의 신체조성, 등속성근기능 및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
- 무용수와 안무가의 교환관계(LMX)가 무용수의 자기효능감 및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서해 서핑 참여자의 참여 유형에 관한 Q 방법론적 연구
- 게임 참여자의 참여동기, 게임몰입, 프로e스포츠팀 동일시의 구조적 관계 분석
- COVID-19에 따른 저항성 운동의 문헌 고찰
- 중국 엘리트 수영지도자의 윤리의식 연구
- 태권도 선수의 객관적/주관적 수행력이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미치는 영향
- 팬데믹 상황에 따른 중국 태권도장 경영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연구
- SUP 활동 참여 청소년의 그릿과 마인드셋 및 운동지속의 구조관계 검증
- 그릿이 고등학교 농구선수의 성취목표지향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남자 축구선수의 심리적 요인이 경기몰입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우슈선수의 스트레스, 자기관리, 운동정서 및 위기대처의 관계
- 고등학교 검도선수들의 실수인식과 자아탄력성,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 재한 중국 이주노동자의 삶과 여가문화에 대한 문화기술적 해석
- 청소년의 여가시간 좌식행동과 중·고강도 신체활동 및 근력운동이 범불안장애에 미치는 영향
- 골프레슨 참여 의사 결정 과정
- 재한 체육학 전공 중국 대학원생의 고민, 문화적응과 성장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4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 목 통증 재발의 위험인자에 관한 추적 조사
-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자율성 동기의 역할: 스코핑 리뷰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스포츠 이벤트 관중의 지각된 기능적 가치, 소비감정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Mehrabian-Russell 모델을 통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6권 제1호 목차
- 스포츠 인공지능 활용의 서비스 가치, 신뢰, 심리적 반응의 관계: 야구 자동투구판정(ABS) 시스템 경험 선수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