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음 세대에 적합한 교회학교 교육방법에 대한 이해와 기본 방향 탐색
이용수 104
- 영문명
- A Study on Understanding and Exploring Basic Directions for Education Methods in Church Schools Suitable for the Next Generation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정한호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第87輯, 21~4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학교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회교육의 전반적인 현실을 살펴보고 다음 세대에 적합한 교육방법의 기본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회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의미와 중요성, 교회학교의 현실, 교회교육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탐색 등을 바탕으로 교회교육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회학교에서의 교육방법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교회학교에서의 다양한 교육방법, 새로 도입된 매체와 교육방법에 대한 우려 등을 바탕으로, 교회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탐색을 통해, 다음 세대에 적합한 교육방법의 기본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회학교의 교육방법은 하나의 수단으로, 교회학교의 본질과 목적을 최우선으로 두고 성경에 기반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둘째, 교회학교의 교육방법은 가르침의 대상인, 학생에게 초점을 두고 나아가야 한다. 셋째, 교회학교의 교육방법은 기존의 형식적인 패러다임을 넘어, 개혁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 세대를 위한 교회교육 및 교육방법의 방향을 탐색함으로, 코로나19로 인해 점차 활용 범위를 넓혀 가는 새로운 에듀테크의 올바른 활용 방법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reality of church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of church schools and to explore the basic direction of education methods suitable for the next gener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looked at the overall appearance of church education based on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education in church schools, the reality of church schools, and the difficulties and solutions of church education. In addition, based on domestic research trends on educational methods in church schools, various educational methods in church schools, and concerns about newly introduced media and educational methods, the educational methods conducted in church schools were examined.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study proposes three main basic education directions suitable for the next generation. First, the educational method of the church school should act as a way of putting the essence and purpose of the church school in the first place, and advance in the direction based on the Bible. Second, the teaching method of the church school should focus on the student. Third, the educational method of church schools must go beyond the existing formal paradigm and move toward reform.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church education and education methods for the next generation was explored. And based on this, in this study, the direction for the correct use of new edutech, which is gradually expan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due to COVID-19, was sought.
목차
Ⅰ. 서론
Ⅱ. 교회학교에서의 교육에 대한 이해
Ⅲ. 교회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회교육 및 교육방법에 대한 이해
Ⅳ. 다음 세대를 위한 교회교육 및 교육방법의 기본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