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형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체제(PDS)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이용수 6

영문명
A Preliminary Study on Designing PDS Model for Korean Mathematics Teachers
발행기관
대한수학교육학회
저자명
이경화 나귀수 권나영 김동원 이환철 이동환 고은성 박민선 박미미 이은정 조진우 박진형
간행물 정보
『수학교육학연구』제22권 4호, 581~60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1.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수학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하면서 수학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PDS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한국형 수학교사 PDS 모델 구축을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모델을 구성하는 요소를 파악하고, 이에 대해 교사, 연수원 교육전문직, 국외 교육전문가에게 수정 및 보완을 위한 자문을 구하여 모델 시안을 도출하였다. 최종 모델은 생애주기, 프로그램 유형, 참여주체라는 세 개의 성분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함께 한국형 수학교사 PDS 모델에 따른 생애주기별 전문성 개발 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For developing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ism,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PDS to provide training programs which are appropriate for Korean context and needed by mathematics teachers.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for constructing PDS and aims to design PDS model for Korean mathematics teachers. Firstly, components of model were elicited by theoretical review. Secondary, focus group discussion with 8 teachers and individual interview with 1 educational profession and 3 foreig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ers were conducted. Finally, by reflecting FGD and interview results, the final version of PDS model was designed. The final model is constructed by 3 components, which are life cycle, program types, and participants. In addi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topics for each life cycle according to PDS model a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화,나귀수,권나영,김동원,이환철,이동환,고은성,박민선,박미미,이은정,조진우,박진형. (2012).한국형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체제(PDS)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2 (4), 581-602

MLA

이경화,나귀수,권나영,김동원,이환철,이동환,고은성,박민선,박미미,이은정,조진우,박진형. "한국형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체제(PDS)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2.4(2012): 581-6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