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Area of Plane Figure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영 강완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2권 4호, 495~51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을 설문지와 수업 관찰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4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1) PCK의 ‘수학 내용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넓이의 개념, 넓이와 길이의 속성 구분을 정확히 이해하고 배열구조를 지도의 대상으로 인식하여야 한다. (2) PCK의 ‘수학과 교수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교과 목표를 넓이의 개념 이해와 공식의 이해를 균형적으로 설정하고 평가해야 한다. (3) PCK의 ‘수학 학습에 대한 학생 이해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설명 위주의 오류수정 보다 넓이의 개념의 이해에 대한 활동을 제시해야 한다. (4) PCK의 ‘수학과 수업 상황에 대한 지식’ 영역에서 교사는 교과서에 대한 주체적 의식을 가지고 교과서의 활동을 보완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diversely analyz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regarding to the area of plane figures and discuss the consideration for the materialization of the effective class in learning the area of plane figures by identifying the improvements based on problems indicated in PCK. The subjects of inquiry are what the problems with teachers’ PCK regarding to the area of plane figures are and how they can be improved. In which is the first domain of PCK, teachers need to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area and the properties and classification of the area and length, recognized the sequence structure as a subject of guidance and improve the direction which naturally connects the flow of measurement by using random units in guidance of the area. In which is the second domain of PCK, teachers need to establish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for the area and understanding of a formula as a subject matter object and improve the activity, discovery and research oriented class for students as a guidance method by escaping from teacher oriented expository class and calculation oriented repetitive learning. They also need to avoid the biased evaluation of using a formula and evenly evaluate whether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area as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In which is the third domain of PCK, teachers need to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area rather than explanation oriented correction and fundamentally teach students about errors by suggesting the activity to explore the properties of the area and length. They also need to plan a method to reflect student's affective aspects besides a compliment and encouragement and apply this method to the class. In which is the fourth domain of PCK, teachers need to increase the use of random units by having an independent consciousness about textbooks and supplementing the activity of textbooks and restructure textbooks by suggesting problematic situations in a real life and teaching the sequence structure. Also, class groups will need to be divided into an entire group, individual group, partner group and normal grou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4학년 혼합계산 지도에 대한 고찰
- 초등학교 4,5,6학년 영재학급 학생의 패턴 일반화를 위한 해결 전략 비교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기하 성취기준에 대한 논의
- 미국의 수학교육과정 규준 CCSSM의 수학적 실천에 대한 고찰
- 예비 교사들의 맥락 문제 해결 과정 분석
- 주체, 구조, 담론, 그리고 수학 학습
- 한국형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체제(PDS)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 The Impact of Unbalanced Development between Concep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to Knowledge Development of Students' in Rational Number Domain
- 수학교육학연구 제22권 제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