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의 수학교육과정 규준 CCSSM의 수학적 실천에 대한 고찰

이용수 24

영문명
Study on the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of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발행기관
대한수학교육학회
저자명
장혜원
간행물 정보
『수학교육학연구』제22권 4호, 557~58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국의 수학교육과정 규준인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CCSSM)은 이전의 규준에 비해 구별되는 특징을 지녔고, 특히 ‘수학적 실천’ 규준 8가지는 ‘수학적 내용’ 규준에 버금가는 주요 요소로서 각 학년의 지도 내용과 함께 매번 제시되면서 강조되고 있다. 그 구체적인 내용 설명이나 내용 규준 전체에 걸쳐 지도되어야 한다는 특징 등으로 볼 때 우리나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신설 요소인 ‘수학적 과정’에 비견될 성질의 것이다. 그러나 CCSSM에 대한 우리나라의 선행 연구는 주로 내용 규준의 변화 및 비교에 초점이 있거나 심지어 과정 규준의 존재 자체를 간과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CSSM 및 그 적용의 확장을 위해 마련된 여러 가지 후속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수학적 실천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수학적 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에 보강되어야 할 과정적 측면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수학적 과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논의를 포함할 것이다.

영문 초록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CCSSM) is a blueprint for school mathematics in 2010s of the United States. CCSSM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parts, the standards for mathematical content and the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This study focused on the latter. Mathematical practice comes from the mathematical process in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NCTM, 2000)' as well as the mathematical proficiency in 'Adding it up(NRC, 2001)'. It is composed of eight standards which mathematically proficient students are expected to do. From Korean perspective, it can also be comparable with the mathematical process which contai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reasoning,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was provided by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mathematics in Korea. However, few focused the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among the studies related to CCSSM in Korea. Moreover, there is a study that even ignores the existence of the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itself.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through analysing the document of CCSSM and its successive materials for implementing the CCSSM. This understanding will help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mathematical process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CCSSM에 대한 이해
Ⅲ. 수학적 실천의 의미와 배경
Ⅳ. 수학적 실천의 적용을 위한 권고 및 사례 분석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혜원. (2012).미국의 수학교육과정 규준 CCSSM의 수학적 실천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22 (4), 557-580

MLA

장혜원. "미국의 수학교육과정 규준 CCSSM의 수학적 실천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22.4(2012): 557-5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