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eer Tutoring on Mathematical Inclination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of Peer Tutor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미진 권성룡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3권 제1호, 127~15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학학습에서의 개인차의 문제를 해결하는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가 교실에서 이뤄지는 또래교수이다. 일반적으로 또래교수는 기본학습과정을 먼저 끝낸 학습우수아가 기본학습과정을 이수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학습부진아를 도와주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따라서 대부분의 또래학습에 관한 연구가 또래교사보다는 또래학습자의 학습에 초점을 맞춰왔고 이런 이유로 부진아 지도를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연구되어졌다. 그러나 또래교수가 학습 부진아에게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지라도 또래교사에게는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한할 뿐 아무런 이득이 되지 않는다면 효율적인 교수학적 방법이라고 보기 어렵고 윤리적이지도 못하다. 본 연구는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또래교수가 이뤄지기 전과 후의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er tutoring on mathematical inclination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of peer tuto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1. How does peer tutoring affect to the mathematical inclination of peer tutors ?2. How does peer tutoring affect to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of peer tutors?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four 5th grade peer tutors were selected for qualitative case study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oyang-si, Gyeonggi-do. Before and after 11 weeks of peer tutoring in their mathematics classes, mathematical inclinati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of peer tutors were examined. For qualitative analysis, peer tutors were asked to complete worksheets, self-evaluation, journal for their peer tutoring in daily basis during the experiment. By comparing the scores in mathematical inclination test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test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nd analyzing the data gathered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First, Peer tutoring has positive effects on the mathematical inclination of peer tutors. Scores for mathematical inclination of peer tutors after the treatment increased and qualitative analysis showed positive change in their attitude toward mathematics. Second, Peer tutoring has positive effects on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of peer tutors. Scores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of peer tutors after the treatment increased. Also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peer tutors tried to develop various ways to solve a problem and explained them to their peer tutee sophisticated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다문화수학교실의 수업실태 분석
- 시각적 스키마 프로그램이 문장제 표상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중국의 대학입학 수학 시험 분석 연구
-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비례를 이용한 중학교 함수의 작도
- GSP를 활용한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기하적 성질의 추측
-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에 대한 교사의 Folding Back 사고 모형 제안
-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설문 조사 활동에서 나타난 아동의 통계적 사고에 관한 연구
- 폴리오미노에 What if (not)? 전략을 적용한 영재 학급용 수학 수업 소재 발굴과 활용
-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출제 체제에 관한 고찰
- 초등학교 4학년 소수단원에서의 수학과 PBL 모형 적용 수업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