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GSP를 활용한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기하적 성질의 추측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Students' Conjecturing of Geometric Properties in Dynamic Geometry Environments Using GSP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손홍찬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3권 제1호, 107~12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GSP(The Geometer's Sketchpad)를 이용한 역동적 기하 환경이 학생의 기하학적 성질의 추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피면, GSP 환경에서 학생들은 문제 상황에서 주어지지 않은 새로운 조건들을 생성하고 그 조건하에서 성질을 추측하는 활동이 활발하고, 문제의 조건이 너무 적은 개방적인 문제 상황에서는 추측 활동이 미약하였다. 또한 GSP 환경에서 추측한 성질은 지필환경에서 추측한 성질보다 복잡하였고 증명하기 어려웠으며 GSP의 다양한 기능 중 ‘Alt’ 키를 이용하여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은 측정과 계산 기능 등과 같이 기하적 성질의 추측에 요긴하게 사용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기하적 성질을 증명할 때보다 스스로 기하적 성질을 발견하였을 때 더 자부심을 갖게 되며 더 기쁘게 생각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how the GSP environments impact students' conjecturing of geometric properties. And we wanted to draw some implic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geometry in dynamic geometric environments. As results, we conclude that when students were given the problem situations which almost has no condition, they were not successful, and rather when the problem situations had appropriate conditions students were able to generate many conditions which were not given in the original problem situations, and consequently they were more successful in conjecturing geometric properties. And the geometric properties conjectured in GSP environments are more complex and difficult to prove than those in paper and pencil environments. Also the function of moving screen with 'Alt' key is frequently used in conjecturing geometric properties with functions of measurement and calculation of GSP. And students felt happier when they discovered geometric properties than when they could prove geometric proper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GSP를 이용한 기하적 성질의 추측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다문화수학교실의 수업실태 분석
- 시각적 스키마 프로그램이 문장제 표상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중국의 대학입학 수학 시험 분석 연구
-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비례를 이용한 중학교 함수의 작도
- GSP를 활용한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기하적 성질의 추측
-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에 대한 교사의 Folding Back 사고 모형 제안
-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설문 조사 활동에서 나타난 아동의 통계적 사고에 관한 연구
- 폴리오미노에 What if (not)? 전략을 적용한 영재 학급용 수학 수업 소재 발굴과 활용
-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출제 체제에 관한 고찰
- 초등학교 4학년 소수단원에서의 수학과 PBL 모형 적용 수업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